민주당 박병석 의원(대전 서갑)은 17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과 관련 “앞으로 첩첩산중이다. 지금부터가 더 중요하다”며 충청권 민·관·정의 지속적인 공조체제 유지를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과학벨트 거점지구 부지매입비 1조 5000억 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이번에 늘어난 1조 7000억 원은 다음 정권이 책임질 수밖에 없다”라며 “현 정부는 계약금만 치르고 나머지 예산은 알아서 하라는 것인데, 앞으로 두 눈 부릅뜨고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전과 기능지구에 2조 3000억 원이 오지만 중이온가속기 설치비용 5000억 원을 빼면 1조 8000억 원인데 연구단은 25개이다”라며 “10개 연구단이 가는 대구에 1조 5000억 원, 5개인 광주엔 6000억 원이 배분돼 연구단 1개당 지원 액수는 충청권이 오히려 적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어 “과학벨트의 성공적인 건설을 위해서는 충청권 민·관·정이 계속 공조체제를 유지하면서 철저하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라며 “과학벨트 문제는 지금부터 시작이다”라고 피력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