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60%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할 경우 신청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1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현재 소속된 회사에서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면 신청하겠다는 직장인이 전체의 58.6%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20대의 경우 42.7%만이 임금피크제에 참여하겠다고 답했지만 30대는 64.2%, 40~50대는 65.1%로 높아지는 등 나이가 많은 근로자일수록 신청하겠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희망하는 정년 연장 기간으로는 4~5년(55.0%)이 가장 많았고 2~3년(24.2%), 6년 이상(19.8%), 1년(1.0%) 등이 뒤를 이었다.
정년 연장 대신 수용 가능한 임금삭감 폭은 '10% 미만'과 '10~20%'가 각각 43.1%, 36.7%로 나와 20% 미만 삭감을 감수하겠다는 의견이 약 80%에 달했다.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려면 노동조합이나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조사결과, '근로자 개인이 원해 기업과 개별 합의가 이뤄지면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57.5%)는 답변이 '현행대로 하자'(42.5%)는 응답보다 많았다.
임금피크제란 정년을 일정 기간 늘리는 대신 임금은 특정 시점 이후로 줄여가는 제도로, 지난해 상반기 현재 11.2%의 기업이 이 제도를 운용 중이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1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현재 소속된 회사에서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면 신청하겠다는 직장인이 전체의 58.6%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20대의 경우 42.7%만이 임금피크제에 참여하겠다고 답했지만 30대는 64.2%, 40~50대는 65.1%로 높아지는 등 나이가 많은 근로자일수록 신청하겠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희망하는 정년 연장 기간으로는 4~5년(55.0%)이 가장 많았고 2~3년(24.2%), 6년 이상(19.8%), 1년(1.0%) 등이 뒤를 이었다.
정년 연장 대신 수용 가능한 임금삭감 폭은 '10% 미만'과 '10~20%'가 각각 43.1%, 36.7%로 나와 20% 미만 삭감을 감수하겠다는 의견이 약 80%에 달했다.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려면 노동조합이나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조사결과, '근로자 개인이 원해 기업과 개별 합의가 이뤄지면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57.5%)는 답변이 '현행대로 하자'(42.5%)는 응답보다 많았다.
임금피크제란 정년을 일정 기간 늘리는 대신 임금은 특정 시점 이후로 줄여가는 제도로, 지난해 상반기 현재 11.2%의 기업이 이 제도를 운용 중이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