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단지)가 선정되면서 인근 청원군 현도 보금자리주택사업이 탄력을 받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16일 과학벨트위원회(위원장 이주호 교과부 장관)가 이날 오전 9시부터 회의를 열어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단지) 내 신동·둔곡지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세부 지원계획안에 따르면 연구단 수는 대덕단지에 약 25개(본원 15개+KAIST 10개)가 배정될 예정이며, 정부는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전체 예산 규모를 지난 2009년 정부가 마련한 과학벨트 종합계획안의 3조 5000억 원보다 1조 7000억 원 이상 늘어난 5조 2000억 원으로 책정했다.
◆현도주민들 “일단 반가운 일”
거점지구인 신동·둔곡지구와 인접한 현도지구 주민들은 일단은 반기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현도에서 20~30분 거리에 있을 정도로 인접해 있어서 주민들은 직접적인 인구유입이 없더라도 반사이익으로 땅값 상승 작용을 기대하고 있다. 주민들 대부분이 처음부터 시골 마을에 8731세대의 대단위 사업이 진행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사업지구지정 해제를 간절히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현도지구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자금난을 이유로 수년째 구체적인 사업방향이나 사업 여부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어 주민들의 불만이 극도로 고조돼 있는 지역이다. 주민들은 평생 노인들만 모여 살던 마을을 공중분해 하는 것보단 차라리 인근 그린벨트지역에다 저렴한 분양가격으로 보금자리주택사업을 1, 2차 차례로 진행하는 편이 오히려 낫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오낙균(55) 주민대책위원장은 “원주민들은 과학벨트 소식을 듣고 솔직히 주변 지가상승이 될 것을 기대하며 들떠 있는 상황”이라면서 “전체 주민들의 80%가 넘는 800여 명이 LH에 사업을 반대하며 지구지정 해제를 요구했지만 묵묵부답이다”고 하소연했다.
◆LH “사업성격 근본적으로 달라”
LH는 정부의 과학벨트 선정과 관련, 현도지구의 사업과 연관 짓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LH의 다른 사업들과 마찬가지로 현도지구 사업은 긍정도 부정도 아닌 재검토나 보류상태로, 재정상태가 어느 정도 안정화돼야 사업시기나 여부를 저울질할 수 있다는 게 LH의 설명이다.
LH는 공공이 재정이나 기금의 지원을 받아 건설, 매입해 분양과 임대를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사업과 초대형 국책 과학기술 프로젝트인 과학벨트와는 근본적으로 사업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큰 시너지 효과는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게다가 현재 대전 신탄진이나 송강 등에 공동주택 수요가 넘치기 때문에 과학벨트 선정이 수요과 공급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전했다.
LH 충북본부 관계자는 “세종시나 과학벨트가 조금은 영향은 있겠지만 현도사업에 직접적인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하진 않는다”며 “과학벨트가 도시계획상 대전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인구의 유입 등 모든 것이 대전 위주로 진행될 것으로 보여 현도가 인접해 있다고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