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대전행이 확정된 가운데 기초과학연구원 산하 50개 연구단의 입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학계는 이번 정부 결정을 환영하면서도 과학벨트를 구성할 50개 연구단이 연구적 필요성이 아닌 정치적 논리로 인해 전국에 흩어지는 것에 대해 경계하는 모습이다.

16일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50개 연구단 가운데 거점지구로 선정된 대덕에 25개 연구단이 들어서고 나머지는 천안, 청원, 연기 등 기능지구와 경북, 광주 등에 배치된다.

세부안을 보면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15개, KAIST에 10개 연구단이 자리잡고 포스텍 등 경북권 3개 캠퍼스에 10개 연구단, 광주과학기술원에도 5개 연구단이 분산 배정된다. 나머지는 천안, 청원, 연기 등 기능지구와 전국의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에 나뉘어 설치된다.

조성 예산은 거점지구인 대전과 기능지구인 청원, 천안, 연기에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연합캠퍼스, 중이온가속기 구축 등에 2조 3000억 원이 투입되고, 대구경북 연합캠퍼스에 1조 5000억원, 광주과학기술원에 6000억원, 전국의 대학 및 출연연에 설치되는 개별 연구단에 8000억 원이 지원된다.

이 같은 소식에 과학계는 과학벨트에 대한 기대와 함께 연구단 배치가 과학 발전을 위한 필요조건보다는 정치권의 입김에 좌지우지 되지 않을 것을 희망하는 모습이다.

대덕특구 내 한 출연연 관계자는 “50개 연구단 배치가 지역적 이익을 떠나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보다 많은 집적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세부 계획 추진에는 더이상 정치적 결정이 내려지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이하 연구노조)도 국제과학비즈니즈벨트(이하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로 대전을 선정한 정부가 결정을 존중하면서, 앞으로는 과학벨트를 어떻게 내실 있게 건설 할 것인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분산배치 우려에 대해 “50개 연구단 기획과 선정은 정치적 이해관계나 지역적 안배가 우선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며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혼란을 종식시키고 과학벨트가 우리나라 기초·원천 과학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연구노조 측은 밝혔다.

또 “과학벨트의 핵심인 기초과학연구원의 위상과 역할을 분명히 하고, 이를 제대로 실현할 수 있도록 정부의 간접과 통제로부터 자율적인 지배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새롭게 출범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출연연과의 관계도 명확히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