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대전 선정은 기초과학 연구를 더욱 본격화해 세계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강국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입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대전 입지가 확정되면서 김명수 대덕특구기관장협의회장(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은 “이번 결정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선진국형 시스템으로 전환하길 기대한다”고 16일 밝혔다.

김 회장은 “과학계는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입장을 표명하진 않았지만 대덕특구와의 연계성과 시너지를 고려할 때 대전 선정이 좋을 것이라는 의견을 갖고 있었다”며 “기존 대덕특구 연구기관들은 과학벨트의 핵심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초 원천연구 수준을 도약시키는데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덕특구는 단지 대전의 특화된 연구기관이 아닌 대한민국 연구개발(R&D)의 발전과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 향상의 원동력이라는 관점에서 적극 육성됐고, 이번 과학벨트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 창출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된다는 것.

그러나 과학벨트가 과학기술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라는 용어가 포함돼 자칫 기초과학을 성과 위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우려도 있음을 내비쳤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기초과학 발전을 위해 성과 위주가 아닌 기초과학에 대한 역량 투자와 세계를 선도할 기술 개발에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과학벨트는 본래 취지에 맞게 무엇보다 기초과학 연구가 중심이 돼야 한다”고 희망했다.

또 과학벨트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우수인력의 이공계 이탈현상을 막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김 회장은 “과학벨트가 이공계 일자리 확보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아울러 해외 우수인력의 적극적인 유치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대전은 주변 생활 여건 등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해외 우수인력의 유치에도 좋은 입지 여건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과학벨트의 향후 성공 과제에 대해 김 회장은 미래 먹거리 창출과 세계 과학기술 중심 국가로의 역량 확보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김 회장은 “앞으로는 협력, 융합연구가 더욱 필요하다”며 “향후 과학벨트 육성은 단기간의 성과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과학의 내실을 다질 수 있도록 꾸준한 지원과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더불어 과학비즈니스벨트 안에 건립되는 각 연구시설 등에 대해서는 면밀히 마스터플랜을 세워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