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결정에 대해 충북도내 정관계를 비롯해 경제계, 시민사회단체 등은 세종시 거점지구 제외에 대한 '아쉬움'과 오송·오창지역 기능지구 지정에 대한 '환영'의 뜻을 동시에 내비쳤다. 아울러 앞으로 기능지구간 경쟁이 남아있는 만큼 충북권의 실익을 위해 민·관·정의 보다 철저한 준비자세가 필요하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16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송·오창의 기능지구 포함은 환영하지만 세종시 거점지구 제외에는 유감을 표한다"며 "앞으로 대전시, 충남과 긴밀히 협조해 (충북의)기능지구 역할을 극대화하는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충북도의회는 성명을 통해 "대선공약을 이행하고 반드시 성공하기 위한 차원에서 제반여건과 경쟁력을 갖춘 충청권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로 선정된 것은 당연한 순리이며, 그동안 열과 성을 다한 충북도민의 염원과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평했다.
한범덕 청주시장은 "청주시도 과학벨트 지정에 따른 효과 등에 대해 면밀치 검토해 시의 발전전략을 마련하고 청주공항 활성화 등과 연계토록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며, 청주시의회도 "오송·오창지구가 국제공항, 고속도로, 고속철도 등 교통이 편리하고 오송생명과학단지 등 과학관련 인프라가 충분이 구축돼 있는 만큼 글로벌 기업 및 연구소 유치 등 세계적인 과학도시의 기능지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종윤 청원군수는 "이번 기능지구 선정은 교통의 요충지이지 기업하기 좋은 지역인 청원군이 오송 1단지와 오송생명 2단지, 옥산산업단지, 오창 제1·2과학단지가 연계돼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유치전에 임하는 자세에서 일부 견해차를 보였던 정치권도 일제히 '수용' 입장을 표했다. 한나라당 충북도당은 "과학벨트가 '정치벨트'가 될 것이란 우려도 있었지만 결국 대통령의 공약은 대부분 이행된 것"이라면서도 "충북도가 충북발전을 위한 차별화 전략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한 점은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충북도당은 "충청권 공조의 핵심이었던 세종시가 거점지구가 아닌 기능지구로 편입된 점이나 연구단 일부가 대구, 광주로 분산 배치된 점은 심히 유감이지만 과학벨트의 거점지구와 기능지구가 충청권에 입지한 것으로 충청권 공조의 최소한의 목적은 달성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경제계 또한 오송·오창의 기능지구 지정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태호 청주상공회의소 회장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로 바이오밸리와 솔라밸리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고, 지역경제의 미래 성장엔진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내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과학벨트 사수 충북지역 민관정 공동대책위원회'는 다소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들은 성명을 내고 "정부의 발표내용을 전향적으로 수용한다"면서도 "세종시를 거점지구에서 제외한데 대해선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전제했다.
특히 "과학벨트 입지선정 과정에서 나타난 국론분열과 지역갈등의 가장 큰 피해자는 국민들이라는 점에서, (충청권 입지라는)대선공약을 백지화한 이명박 대통령에게 무거운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본사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