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로 대전 대덕특구(신동·둔곡지구)가 거점지역으로, 세종시와 천안, 청원이 기능지구로 최종 확정됐지만 이에 따른 정치적 후폭풍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김황식 국무총리가 16일 과학벨트 입지 선정과 한국토지공사(LH) 본사 이전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통해 “오로지 국가의 미래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첨예한 유치 경쟁을 벌여온 각 지방자치단체와 정치권의 분위기는 더욱 ‘격앙’되고 있다.
이번 과학벨트 논란과 LH 본사 이전 문제는 정부의 국책사업 추진의 난맥상을 그대로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남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부와 정치권은 이번 논란으로 발생한 심각한 지역갈등과 국론분열에 대한 시급한 봉합과 함께 국책사업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박병석 의원(대전 서갑)은 “과학벨트는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의 국책사업 난맥상을 보여주었던 것으로 국민은 사분오열되고, 지역갈등은 커질 대로 커져 버렸다”라며 “이 모든 책임은 원인을 제공하고, 갈팡질팡했던 정부와 한나라당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어 “이제는 모두 과학벨트의 성공을 위해 힘을 모을 때이다”라며 “소모적인 논쟁을 접고 과학발전의 도약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윤석만 대전시당 위원장은 “정부의 과학벨트 입지가 확정된 만큼 소모적인 논쟁은 자제하고 모두가 합심해 명품 과학벨트의 건설을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할 시기”라며 “이제는 지역 정파 간 이기주의를 확대재생산하는 정치논리는 지양하고, 충청민의 이익과 지역경제를 위한 미래의 명품과학도시를 만드는데 모든 역량을 모으는 일에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에 남겨진 또 하나의 숙제는 장기 프로젝트인 과학벨트가 흔들림 없이 진행되도록 감시·지원하는 것이다.
과학벨트 조성은 차기 정부와 그 다음 정부까지 추진되는 만큼, 정치적인 풍파에 휩쓸릴 공산이 크다.
이 때문에 정치권은 과학벨트가 특정 지역의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닌, 국가의 백년대계를 결정짓는 사업이란 점을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은 “과학벨트가 실질적인 결실을 맺으려면 20년~30년 걸린다”라며 “차기 정권과 차차기 정권이 과학벨트의 취지를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이번 정부 추경이나 내년 정부 예산에 과학벨트 관련 예산을 대폭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정부와 긴밀하게 협조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 강창희 전 최고위원(전 과학기술부 장관)은 “과학벨트는 차기 정부의 중요한 국책사업이고, 임기가 끝나기 전에 사업이 마무리된다고 들었다”면서 “예산 집행 계획, 시기 등의 문제 등에 대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