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오른쪽)과 김상주 부위원장(대한민국 학술원 회장)이 16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단지)를 선정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대전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조성키로 정부가 최종 발표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16일 “과학벨트위원회 회의 결과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단지) 내 신동·둔곡지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거점지구인 대덕특구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되며, 금융·교육·연구 등의 측면에서 뒷받침할 기능지구로는 청원(오송·오창), 연기(세종시), 천안 등이 지정됐다.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 가운데 절반가량은 거점지구인 대덕특구에, 나머지는 최종 5개 후보지에 들었다가 탈락한 광주·경북권(대구·포항·울산)에 집중 배치된다.
정부의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확정에 대해 충청권은 물론 과학계에서도 ‘당연한 결과’라는 반응이다.
대한민국 과학의 메카인 대덕연구단지가 대전에 있는 등 정부 스스로 최적의 입지라고 평가한 바 있는데다,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가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2월 이명박 대통령의 ‘백지화’ 시사 발언 이후 불붙은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치열한 유치경쟁과 영호남 정치권의 압력 등으로 인해 국가백년대계를 좌우할 과학벨트 조성 사업은 왜곡, 난파될 우려에 처해 있던 것도 사실이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가 최종 확정된 것은 충청권 지방자치단체와 과학계, 정치권, 시민사회단체 등이 얽히고설킨 이해관계와 정파를 초월해 유지해 온 ‘공조’가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 |
||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3개 시·도는 단단한 공조 속에서 다각적인 공동 유치 노력을 펼쳤고, 충청 정치권은 여야의 벽을 넘어 지원사격을 아끼지 않았다. 또 시민사회단체는 지역 저변에서 과학벨트 논란을 공론화하면서 시도의 역량을 결집시키는데 한 몫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충청권 3개 시·도가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이란 대원칙 아래 공조체계를 굳건히 하며 오늘에 이르렀다”면서 “앞으로 시는 충청권 3개 시·도의 공조정신을 공고히 하면서 지역 상생발전방안 마련에도 정성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과학벨트 성공을 위해 충청권 3개 시·도가 뭉쳐야 한다”며 “3개 시·도지사가 모여 공조 입장과 향후 계획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정치권도 여야를 막론하고 과학벨트 충청 입지를 위해 총력을 다했다. 한나라당 강창희 전 최고위원(전 과학기술부 장관)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설명한 자료를 들고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와 이주호 교과부 장관,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 등을 찾아다니는 등 백방으로 뛰어다녔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과학벨트 충청권 사수’를 위해 대전역 앞에 천막을 치고 70여 일간 철야 농성을 벌였다. 자유선진당 국회의원들은 청와대와 국회 앞에서 규탄대회와 기자회견을 수차례 개최하면서 정부를 고강도로 압박했다.
충청지역 정당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벨트 충청 입지는 충청인이 거둔 노력의 결실”이라며 “입지 결정은 끝이 아닌 시작이며, 명품도시가 되도록 충청인은 더욱 공조를 확고히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