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충청권 공조는 대전 대덕특구 거점지구, 청원(오송·오창), 천안시, 세종시 기능지구 지정으로 마무리됐다.
충청권 3개 시·도는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 이행을 위한 세종시 거점지구와 청원(오송·오창), 대전 대덕의 기능지구 구상인 C벨트를 관철시키기 위해 공조체제를 구축했다. 충청권의 공조는 천안시가 단독 유치에 나서 찬물을 끼얹었고, 세종시가 거점지구 후보지 10곳에 포함되지 않아 위기를 맞았다. 충북은 최종 입지 심의과정에서 오송·오창 탈락설까지 나돌아 세종시 공조 들러리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충청권 공조와 천안시 단독 행보
충청권 지자체는 대선공약 이행을 촉구하며 정부 압박에 공동보조를 맞췄다.
충청권은 세종시 거점지구, 청원(오송·오창), 대전 대덕 기능지구 구상인 C벨트를 요구했다. 이런 가운데 영·호남권이 과학벨트 유치에 적극 나서면서 전국적인 이슈로 급부상했다.
충청권은 대선공약 이행을 촉구하는 한편 연구 인프라, 접근성 등 강점을 내세워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를 주장했다. 충청권 내에서도 이상 기류가 형성됐다. 천안시가 단독 유치 행보에 나서면서 충청권 공조체제 붕괴 우려감이 팽배했다. 충청권 지자체는 천안시의 독자 행보에도 불구, 세종시 거점지구 공조 원칙을 고수했다.
◆세종시 거점지구 후보지 제외
정부는 전국 지자체로부터 후보지 50곳에 대한 자료를 제출받았다. 충청권은 세종시를 거점지구 우선 대상지으로 신청했다. 하지만 세종시가 거점지구 후보지 10곳에서 제외되면서 충청권이 혼란에 빠졌다. 공조 원칙이었던 세종시 거점지구 우선 대상지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충청권 유치가 불투명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나왔다.
특히, 충청권은 우선대상지인 세종시가 제외되면서 공조 명분마저 잃게 됐다. 세종시 거점지구 탈락 후 충청권은 겉으로는 공조 원칙을 고수했으나 내부적으로는 지역별로 과학벨트 유치전을 적극 펼쳤다.
◆충북 실익론 부상
충청권 공조에도 불구 천안시가 독자적으로 단독 유치에 나서면서 논란이 일었다.
천안시가 독자적 행보를 완강히 고수하면서 공조체제 붕괴 우려감이 높아졌다. 충북에서 충청권 들러리 경계론과 실익론이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상황 속에 천안시의 독자 유치 신청서 제출은 실익찾기 주장에 무게를 실어주었다.
충북 일각에서 오송·오창이 거점지구로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점을 내세우며 실리론을 주장했다. 또 충청권 공조 원칙인 세종시 거점지구에 따른 들러리 경계론도 이어졌다.
하지만 충청권 공조 원칙인 세종시가 거점지구 후보지에서 제외돼 명분을 잃었음에도 불구, 충북은 공식적으로 오송·오창지구에 대한 거점지구 지정 목소리를 낼 수 없었다. 오송·오창이 기능지구로 지정됐지만, 실질적인 혜택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돼 향후 충청권 공조 결과에 따른 충북 실익에 대한 논란의 소지가 있다.
◆충청권 상생
충청권 상생이라는 명분 아래 충북, 대전, 충남은 공동현안이 있을 때마다 공조체제를 구축했다. 세종시 원안 추진에 이어 과학벨트가 두 번째 충청권 공조 현안사업이었다. 하지만 충청권 공조체제에 대한 회의론도 나오고 있다. 충청권 3개 시·도가 과학벨트 공조 원칙에도 불구 천안시가 끝까지 단독 행보를 이어갔다. 충남도의 설득도 천안시의 의지를 꺾지 못했다.
반면에 충북은 오송·오창 거점지구 유치라는 실리 찾기에 대한 지역 여론에도 불구 공조 원칙을 고수했다. 과학벨트 최종 입지 발표 직전 대전 대덕특구 거점지구 유력설과 오송·오창 기능지구 탈락설이 나오자 충북은 이시종 지사 등이 철야농성을 벌이는 등 반발했지만, 대전, 충남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대전 거점지구 지정이 유력시되는 상황에서 공조체제보다 지역의 이익을 우선시했다는 분석이다.
충북과 대전·충남이 그동안 상생을 명분으로 공동보조를 맞춰왔지만, 결국 지역발전을 먼저 고려하고 있다는 것으로 입증한 셈이다. 세종시 원안 추진에 공조했던 충북이 세종시 건설에조차 참여하지 못하고 땅(청원군 부용면)만 내준 꼴이 된 공조체제 구축 결과로 볼 때 충청권 상생의 재정립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