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정부가 발표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 결과에 대해 충청 정치권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충청 정치권에서 그동안 요구해 오던 세종시 대신 대전 대덕특구가 거점지구로 결정됐지만, 정부의 발표가 ‘과학벨트 건설의 근본 취지’를 흔들지 않았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결과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여야 정치권은 과학벨트 충청권 결정이 자당의 노력이 있었다는 점을 앞 다퉈 강조했다.
한나라당 대전시당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대전을 거점지구로 하고, 연기·청원·천안을 아우르는 기능지구가 입지하게 돼 사실상 충청권 명품 과학벨트 조성이 가능하게 됐다”라며 “500만 충청인이 보내준 노력과 성원에 진심으로 감사하며 크게 환영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특히 “이번 발표는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 공약인) 충청권 조성 약속을 지킨 것”이라며 “충청권이 과학벨트로서 도약할 계기가 마련된 것이자 명실상부하게 국제적 도시로서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는 쾌거”라고 자평했다.
민주당 대전시당도 이날 대전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의 발표에 환영한다”라면서도 “이제 충청인이 새롭게 하나로 과학벨트 거점지구 대덕특구의 내실을 다지자”고 호소했다. 이들은 이어 “이번 결과는 충청인의 입지 사수 투쟁의 성과”라며 “70여일에 걸친 대전역 천막 철야농성과 함께 셀 수도 없는 집회와 규탄대회 등 500만 충청인의 하나 된 모습이 이끌어낸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충남도당도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확정한 이명박 정권의 결정은 환영한다”고 한 후 “대한민국의 갈등과 분열의 책임은 온전히 말바꾸기를 해 온 이명박 대통령이라는 사실을 거듭 천명한다”고 꼬집었다.
자유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대전 중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벨트 대전권 입지는 사필귀정”이라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특히 “과학벨트 대전권 입지는 (우리가) 하나로 똘똘 뭉쳐 온 값진 결과”라며 “그 기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연계방안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는 “세종시와 과학벨트의 융합은 선진인류국가로 도약하는 새로운 국가성장 모델”이라며 “거점지구인 대덕특구와 기능지구인 세종시와의 상생연계발전전략이 과학벨트 성공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