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몽골 자브항과 우호교류 협약을 체결한 청주시가 교류사업의 일환으로 몽골에 대단위 유채꽃밭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사업의 적절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달 14일 시는 산지메티브 야담슈런(Sanjmyatav Yadamsuren) 몽골 자브항 도지사 및 자브항 공무원이 참여한 가운데 양 도시간 우호교류 협약식을 갖고 활발한 우호교류를 약속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시는 전 세계적 문제로 대두되는 황사는 물론 청주의 맑고 깨끗한 환경을 위해 사막의 초지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 몽골 자브항의 사막 초지화사업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지역기업의 우수상품 대 몽골 수출 등 경제교류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 일환으로 시는 직접 구입해 지원한 유채씨로 몽골 자브항에 유채꽃밭을 조성한 뒤 수확한 열매는 시가 취하고, 남은 부산물은 몽골에서 양 먹이로 활용하는 초지화사업을 검토중이다. 또 수확한 열매에서는 친환경 바이오 대체 에너지인 '바이오 디젤'을 축출해 사용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사업의 적절성을 두고 청내에서도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시가 유채씨 구입처로 몽골 자브항에서 사막 저항성 식물 유채꽃 시험재배포 조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충북 증평의 한 바이오기업을 염두에 두고 있어 자칫 특혜시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청주시에 앞서 지난해 초 이 업체를 통해 몽골 자브항에 유채꽃밭을 조성하는 방안을 먼저 제안받은 충북도는 예산 지원은 논란의 소지가 있어 행정적 지원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난해 말 이미 이 업체가 시의회 재정경제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대상으로 관련 사업 브리핑을 가진바 있으며, 예산 지원의 적절성 등을 이유로 의원들조차 난색을 표했다는 후문이다.
'바이오 디젤'을 축출한다는 대목도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다. 수 년 전만 하더라도 유채꽃을 통해 축출한 '바이오 디젤'이 친환경 바이오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유채 단가보다 3배가량 높은 생산비 때문에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아래 정부 또한 관련 정책을 지난해 전면 중단한 바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고위 공직자는 "일반적으로 국제 우호교류 도시간 직접적인 예산지원은 극히 드물다"며 "하물며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결론이 나온 사업을 추진하면서 특정업체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의회에서 관련 예산이 통과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지역인사는 "현재 몽골의 사막 초지화 사업은 대부분 국가차원이나 민간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 일반"이라며 "청주의 맑고 깨끗한 환경을 위해 몽골에 유채꽃밭을 조성한다는 말로 예산투입의 당위성을 확보하기엔 역부족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유채꽃밭 조성사업은 현재 검토되고 있는 다양한 우호교류 사업중 하나일 뿐"이라며 "설사 추진되더라도 우호도시의 당면과제인 사막 초지화사업을 위한 일종의 원조 개념으로 봐야지 채산성 등을 따질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