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최종 입지로 대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충남도는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3개 시·도 공조에 흔들림이 없을 것이란 낙관적 입장을 내비쳤다.
충남도는 15일 과학벨트 최종 입지로 대전시가 선정될 것으로 알려진 것에 대해 “현재 대전시의 경우 환영의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 같다”며 “그러나 3개 시·도의 공조체제는 변하지 않고 유지될 것”이라고 전했다. 도 관계자는 “대전시가 유력지로 거론된 것에 대해 3개 시·도지사의 입장이 다를 수 있지만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충청권 상생발전 전략의 필요성에는 이견이 없다”며 “어떤 형태로든 세종시를 자족도시로 한 상생발전을 이끌어 낸다는 것에 공조를 맞춰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3개 시·도 모두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충청권 발전전략을 모색하자는 데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세종시를 제치고 대전시가 과학벨트 입지로 유력해 진다해도 상호 입장을 조율해 최선의 대안을 만들어 간다는 설명이다. 이어 이 관계자는 “세종시를 제외할 경우 앞서 정부가 강조해 온 세종시 개발 의지 자체에 대해 의심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세종시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 과학벨트가 들어 올 경우 세종시 중심의 과학벨트 입지를 통한 시너지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도의 이러한 입장 설명에 대해 앞서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를 주장해 온 충청권 3개 시·도의 공조 목표가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상생발전 전략으로 조심스레 변경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김황식 총리가 16일 발표하는 LH를 비롯해 과학벨트 선정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에 따른 도의 입장을 표명할 것”이라며 “이날 도의 입장표명에 이어 대선공약이행 범 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가 성명을 발표하는 등 충청권의 입장을 분명히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