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선정 발표(16일)를 앞두고 ‘오송’ 기능지구 제외설이 나오면서 충북 정치권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충청권 공조 원칙인 세종시 거점지구, 오송·오창, 대전 대덕 기능지구의 C벨트 구상에서 대덕은 거점지구 지정이 유력시되는 반면 오송·오창은 기능지구에서 제외된다고 알려진데 따른 것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충청권 사수 충북지역 민·관·정 공동대책위원회(이하 충북공대위)'는 15일 오후 7시 충북도청 본관 앞에서 기원문화제를 열고 “오송·오창과 세종시, 대덕특구를 연결하는 것으로 입지를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충북공대위는 또 이날 오후 2시 이시종 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과학 벨트를 영·호남에 분산 배치하면 정치 벨트로 규정하고 불복종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대위는 "과학 벨트는 대선공약을 이행하고 성공하기 위한 차원에서라도 여러 가지 여건과 경쟁력을 갖춘 충청권에 거점지구와 기능지구가 입지하는 것이 순리이고 유일한 해법”이라며 “최소한 충북의 오송·오창이 기능지구에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며 덧붙였다.
앞서 이 지사는 지난 14일 밤부터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를 위해 도청 중회의실에서 농성에 들어갔다. 이 지사는 이날 일부 언론에 과학 벨트 대전 입지설이 보도된 것과 관련, 홍재형·노영민·변재일·오제세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16일 과학 벨트 최종 입지가 발표될 때까지 공대위 지도부와 함께 농성을 벌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