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의 각종 국책사업 입지 선정이 잇따라 파열음을 냄에 따라 전국 민심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최근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이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당초 전주와 진주 분리 이전 약속이 지켜지지 않음에 따라 전국 민심이 제각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의 경우 당초 강력한 후보지였던 세종시가 제외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는 당초 여권 핵심부에서도 그 당위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었다.
한 여권 핵심인사는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와 관련 “충청권에서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과학벨트의 경우 세종시로 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 여권의 기본적 입장”이라고 말했다.
또한 친박(친박근혜)계 한 중진 의원 역시 “과학벨트는 세종시로 가지 않겠는가”라고 말했으며, 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도 계속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 과학벨트의 분산 입지와 관련 “그동안 (분산입지로) 보도된 내용 자체를 모르고 있다”며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를 강하게 시사하기도 했다.
이처럼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가 여권 핵심부에서 폭넓게 자리 잡고 있었고, 한편에선 세종시 입지가 당연하다는 입장도 개진되는 등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가 당연시되었음에도 세종시가 입지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오히려 대구와 경북, 광주 등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는 형편이다.
더구나 동남권신공항 건설 계획이 무산되면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자 과학벨트의 세종시 입지는 이명박 대통령이 여러 차례 약속을 한 만큼 세종시 입지가 지켜져야 한다는 여론이 여권 내에서도 강하게 일고 있었다.
이 같은 정부의 말바꾸기식의 혼선은 현 정부 초기 수도권 규제 완화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여론이 어긋나는 계기를 제공했다.
특히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들고 나오면서 충청권과 비충청권 간 적대감이 극에 달했고, 결국 여론에 밀려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포기하는 상황까지 이르면서 정부 정책에 대한 여론의 곱지 않은 시선이 확산 일로에 놓이게 되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