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대전 대덕특구가 기정 사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충북 ‘오송’ 기능지구 제외설이 나와 ‘충청권 공조 들러리’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충청권 공조 원칙인 세종시가 거점지구 후보지에서 탈락해 사실상 공조 명분을 잃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제기됐던 충북 실리론에 대한 책임 논쟁도 예상된다. 충청권 공조 원칙인 세종시 거점지구, 오송·오창, 대전 대덕 기능지구의 C벨트 구상에서 대덕은 거점지구 지정이 유력시되는 반면 오송·오창 기능지구 제외설이 돌고 있어 충북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오송·오창 기능지구 제외설에 따라 이시종 충북도지사, 민주당 청주·청원 국회의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사수 충북지역 민·관·정공동대책위는 15일 저녁부터 철야농성을 벌이는 등 오송·오창 기능지구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오송·오창 기능지구 제외설이 현실화될 경우 정부에 대한 반발은 물론 충청권 공조 들러리에 따른 책임론 등 충북지역이 심각한 후유증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민주당 변재일 의원(청원)은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 유치 과정에서 충청권 3개 시·도가 '투트랙 전략'을 썼다"고 밝혔다. 충북도와 민주당 측은 철야농성, 촛불집회 등을 통해 막판까지 정부를 압박하고 있지만, 기능지구 제외설이 현실화될 경우 큰 파장이 예상된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