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부의 과학벨트 입지 선정발표를 사흘 앞둔 13일 충청권 3개 시도지사 등이 포함된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 충청권 비상대책위가 충남 연기군 행복도시건설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벨트를 대선공약대로 세종시에 조성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최종 후보지로 대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진 15일 충청지역 정치권은 ‘냉정’을 잃지 말 것을 주문하면서, 기능지구 ‘분산배치’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정부가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충청권을 확정했지만, 소위 ‘알맹이’에 해당하는 중요 시설은 타 지자체로 분산시켜 ‘형님벨트’로 만들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지역 정치권에선 그동안 “대통령 공약을 지키는 것처럼 푯말만 충청권에 세우고 알맹이는 포항이나 대구·경북 등으로 분산시켜 ‘형님벨트’를 만들 수 있다”는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자유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대전 중구)는 15일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가 있을 때까지 속단하기는 이르다”면서도 “세종시 지역이 누락됐다면 매우 유감스럽지만, 충청권에 조성하겠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권 원내대표는 “결국 이런 결정을 내릴 거면서 (정부는) 무엇 때문에 지난 몇 달간 국론분열과 지역갈등을 부추겼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과학벨트 거점지구의 대전 조성이 확정됐다고 하더라도 세종시 일부 지역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종시 일부지역을 거점지구에 포함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외국인 주택·학교·병원 등을 건설하고, 국제비즈니스 기능을 담당할 첨단지구를 세종시에 지정해서 세종시 자족기능을 강화시켜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권 원내대표는 그러면서도 ‘대전 유력설’과 함께 나오고 있는 ‘대구·광주 분산배치설’에 대해서는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과학정책의 기본은 선택과 집중”이라고 강조하면서 “정치적 고려에 의한 분산배치는 역사적 죄악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선진당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은 “과학벨트의 거점지구가 대전·세종시·충북 등 어디에 지정되든 관계없다. 행정구역을 넘어 대전 대덕연구단지와 세종시, 충북 오송·오창단지가 과학벨트권 한 묶음으로 연계돼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양승조 충남도당 위원장(천안 갑)은 “우리 당은 물론 500만 충청도민과 정치인이 모두 힘을 합친 결과”라고 자평했다.
양 위원장은 그러나 ‘대통령 공약이 이행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선 “대전이 분명히 충청권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행됐다고 주장할 수는 있지만, 공약을 지킨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대전이 최종 입지로 정해진 것은 실질적인 평가에 의한 것”이라며 “공약대로 충청권에 과학벨트를 설치해야 했지만, 전국을 상대로 평가해 10곳으로 압축해 경쟁시켰다. 그 자체가 공약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또 분산배치 우려에 대해선 “사실 그 부분이 걱정이 된다”라며 “눈에 보이게는 못하겠지만, 배려나 보상 차원에서 분산배치를 시도할 수 있다. 충청권 국회의원 등 정치인이 (긴장을 늦추지 말고) 이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위원장 등 민주당 충남도당은 이날 충남 연기군 조치원역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무책임하게 과학벨트 분산배치를 강행하거나, 충청권 입지 공약을 파기한다면 정권퇴진운동에 나서겠다”고 강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편 충청지역 한나라당 시·도당은 “결과적으로 대통령의 공약이 지켜진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야당이 선동적으로 보여 주기식으로 행동할 때 우리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대통령 공약을 지켜지게 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