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신임 원내대표단을 구성하면서 공천 개혁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야는 상향식 공천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면서 완전 국민경선제, 전략 공천제 확대 도입 등도 논의 중이다. 다만 당내 현역의원 등 기득권 세력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어서 공천 개혁이 현실화될지는 불투명하다.

한나라당은 신임 황우여 원내대표가 당분간 당을 이끌면서 당내 공천 개혁 작업을 진행 중이다. 완전 국민경선제 등을 검토하고 있는 한나라당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선거법 개정안도 제출한 상황이다. 완전 국민 경선제는 유권자가 특정정당의 국민 경선에 참여해 총선 후보 등을 뽑는 제도로 이 제도가 도입될 경우 선거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설명이다. 한나라당은 젊은층을 상대로 전략공천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현역의원들 중 여론지지도가 당 지지도보다 낮은 경우 공천에서 배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경우 영남권에서 현역의원 공천탈락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나라당은 7월 전당대회를 통해 새 대표를 선출하는데 당내 각 세력 간 공천 개혁 방안을 놓고 ‘선명성’ 경쟁도 예상돼 어떤 방식의 공천제도가 완성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민주당은 신임 김진표 원내대표가 손학규 대표와 투톱을 이루고 있지만 손 대표가 내년 대선 출마를 위해 올해까지만 당 대표를 할 가능성이 높아 김 신임 원내대표의 공천 개혁 의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민주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등 공천에 오디션 형태의 경선 방식을 검토 중이다. 이 방식은 국민 배심원단을 구성해 후보들에 대해 평가를 하는 방안으로 당원투표와 합산해 최종후보를 선출한다. 민주당은 내년 총선에서 야권 연대를 전제로 ‘당의 전략상 필요에 의해 야권 연대·연합을 결정할 경우 총선 후보자는 전적으로 당의 결정을 따른다’는 서약서를 후보들에게 받아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젊은층 표심을 잡기 위해 20대 남녀 비례대표를 각 1명씩 선출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민주당내에선 당선 가능성이 높은 호남지역 현역의원 들의 교체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자유선진당은 신임 변웅전 대표가 상향식 공천 등을 검토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진행중이다. 선진당은 경선을 기본으로 하고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가 공천 개혁 작업을 서두르는 것은 당선 가능성을 높이고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것”이라면서 “당내 기득권 세력인 현역의원들이 공천 개혁 작업에 조직적으로 반발하기 때문에 개혁 작업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