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된 약에 한해 의약품 분류체계 재정립을 통한 의약품 전달체계를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약사회는 약품에 의한 부작용 등을 근거로 비전문가에 의한 약품 판매를 원천적으로 부정하며, 이 같은 주장에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의약품 전달체계 재구축 주장은 12일 충남북부상공회의소에서 '상비약, 약국 외 판매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천안·아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천안·아산소비자시민모임이 공동주최한 토론회를 통해 제기됐다.
발제자로 나선 정승준 한양대 교수(중앙경실련 보건의료위원)는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최근 여러 기관의 보고서는 공휴일이나 심야시간에 가정상비약 수준의 일반의약품을 구입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편을 지적했고, 약사회는 당번 약국제나 심야응급약국제의 시범사업을 시행했으나 인력적·재정적 한계로 국민이 필요로 하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또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에 대한 논의는 매번 의약품 분야의 전문성과 안전성이라는 특징과 반대논리에 부딪혀 왔으나 우리나라 일반의약품에 대한 사용실태를 보더라도 일반가정의 약 90%가 상처연고, 소화제, 진통제 등 가정상비약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특별한 복약지도 없이도 자가치료를 행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약국의 접근성 문제로 심야시간대나 공휴일에 발생하는 의료사각지대와 직접적으로 연계되고, 의약분업 이후 병원 근처 문전약국의 집중으로 이러한 상황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정 교수는 “의약품을 전문, 일반, 약국 외 판매로 재분류하고, 궁극적으로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된 약에 한해서 자가치료의 주체인 소비자가 요구하는 편의성과 효율성이 반영돼야 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김춘권 천안시약사회 회장은 “감기약만 해도 증상에 따른 종류가 수백 가지이며, 피부질환 연고도 마찬가지로, 이 정도면 약국 하나를 차릴 규모이고, 결국 비전문가가 이들 약품을 다룰 텐데 약에 대한 부작용을 어떻게 책임질 수 있는지 걱정스럽다”고 반박했다.
천안=유창림 기자yoo77200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