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지역 정치지형 변화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구 증설 및 신설 문제가 관심을 끌고 있다. 다만 국회의원 지역구 증설 등은 각종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데다 일부는 헌법관련 사항이어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역구 신·증설 문제는 주로 대전·충남 지역에 한해 있는데 대전과 천안 지역의 증설과 세종시의 신설 등이 초점이다. 대전의 경우 현행 지역구 6석은 규모가 비슷하거나 적은 광주(8석), 울산(6석) 지역에 비해 의석수가 적어 1석을 늘려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대전 지역구 증설은 이번 18대 국회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됐다는 점에서 차기 국회에선 반드시 이뤄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전 정치권도 이 문제를 초당적으로 거론하고 있어 지역구 증설이 현실화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충남 천안 지역의 의석 증설도 관심사다. 천안의 경우 지난 17대 국회에서도 분구 등을 통한 의석 증설이 검토된 바 있는데 그 이후에도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현행 2석을 3석으로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종시의 경우에는 국회의원 지역구 신설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광역시인 세종시가 내년 공식적으로 출범함에 따라 이 지역에 새로운 지역구가 생겨야 한다는 논리다.
세종시 지역구가 신설될 경우 각 정당은 세종시의 상징성 때문에 당력을 총동원해 이 지역을 공략할 것으로 예상돼 총선의 핫코너로 떠오를 가능성도 있다. 국회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올해 하반기에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구성해 선거구를 확정할 예정이어서 충청권 선거구 증설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회 관계자는 “충청권 지역구가 늘어나면 그만큼 지역 이익을 대변할 목소리가 커지겠지만 타 지역과의 형평성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얻어내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지역구 신·증설 문제는 주로 대전·충남 지역에 한해 있는데 대전과 천안 지역의 증설과 세종시의 신설 등이 초점이다. 대전의 경우 현행 지역구 6석은 규모가 비슷하거나 적은 광주(8석), 울산(6석) 지역에 비해 의석수가 적어 1석을 늘려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대전 지역구 증설은 이번 18대 국회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됐다는 점에서 차기 국회에선 반드시 이뤄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전 정치권도 이 문제를 초당적으로 거론하고 있어 지역구 증설이 현실화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충남 천안 지역의 의석 증설도 관심사다. 천안의 경우 지난 17대 국회에서도 분구 등을 통한 의석 증설이 검토된 바 있는데 그 이후에도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현행 2석을 3석으로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종시의 경우에는 국회의원 지역구 신설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광역시인 세종시가 내년 공식적으로 출범함에 따라 이 지역에 새로운 지역구가 생겨야 한다는 논리다.
세종시 지역구가 신설될 경우 각 정당은 세종시의 상징성 때문에 당력을 총동원해 이 지역을 공략할 것으로 예상돼 총선의 핫코너로 떠오를 가능성도 있다. 국회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올해 하반기에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구성해 선거구를 확정할 예정이어서 충청권 선거구 증설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회 관계자는 “충청권 지역구가 늘어나면 그만큼 지역 이익을 대변할 목소리가 커지겠지만 타 지역과의 형평성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얻어내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