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실저축은행에 대한 매각 작업이 탄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충북지역 하나로저축은행의 매각설은 사실무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중 부산저축은행 등 모두 9개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매각 입찰공고와 함께 저축은행중앙회가 인수한 하나로저축은행의 매각설도 업계 일각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중앙회는 아직 재정상태도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한 하나로은행의 매각설은 '뜬 구름 잡는 이야기'라며 일축했다.

◆중앙회, 하나로저축은행 인수 배경

저축은행중앙회는 전임 대주주의 불법 대출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회수지연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하나로은행을 1100억 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인수했다. 중앙회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일선 저축은행을 인수한 것은 하나로은행이 처음으로 업계에서는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졌다. 12일 지역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중앙회가 부실저축은행 인수를 위해 출연한 자금은 1100억 원 정도로, 하나로은행과 같은 시기 부실 경영으로 재정난에 허덕이던 전주 전일저축은행을 놓고 공적자금 투입 여부를 저울질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하나로은행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전일저축은행의 경우 공적자금을 투입한다고 해도 경영정상화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 하나로은행을 전격 인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이유는 하나로은행의 전신인 하나로신용금고 시절 신충북상호신용금고와의 계약이전으로 청주 남문로지점과, 충주지점을 개점했을 때다. 당시 하나로은행은 중앙회로부터 지점 개점 등을 위해 필요한 415억 원을 지원받아 지난해 1월까지 255억 원만 변재하고, 160억 원의 채무가 남은 상태였다. 이 때문에 중앙회에서는 하나로은행의 부실사태가 불거진 후 은행이 매각되면 남은 채무액을 받지 못할 수도 있어 직접 인수에 나선 것이라는 얘기도 전해진다.

◆영업망 확장~가치 상승 땐 매각 가능

일각에서 하나로은행의 매각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최근 저축은행들에 대한 인수·합병(M&A) 분위기와 오는 6월 저축은행 결산을 앞둔 상황에서 실적 악화가 우려됨에 따라 자금 확보가 우선 시 돼야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들은 근거 없는 이야기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아직 은행의 재정 상태가 정상궤도에 오르지 못한 하나로은행을 매각한다고 해서 중앙회가 초기 인수자금을 제대로 회수할 수 있겠냐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특히 매각이 이뤄지더라도 시장에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이 9곳이나 되는 상황에서 하나로은행에 대한 가치가 얼마나 되겠느냐는 것이 관계자들의 반응이다.게다가 최근 잇따르고 있는 저축은행 부실사태로 인한 저축은행들의 인수·합병 분위기도 현재 하나로은행에서 감지되지 않고 있다.

실제 오는 6월말까지 중앙회는 하나로은행의 지점을 서울과 수원, 인천, 부산지역에 추가로 늘릴 방침이다. 이는 하나로은행이 충북금융시장의 열악함을 인식해 전국적인 영업망 확대를 통한 사업 확장을 꾀하는 것이다. 중앙회가 하나로은행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면 굳이 지점 확장을 현 시점에서 할 필요가 있을지 의구심이 생기는 대목이다.

지역업계 관계자는 "중앙회도 지금 상황에서 하나로은행을 매각해 그동안 투입된 공적자금을 전부 회수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하나로은행의 경영이 완전 정상화 되고 가치가 올랐을 때 매각하는 것이 중앙회 입장에서도 더 남는 장사가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중앙회에 자금을 출연한 일부 저축은행 업계에서 하나로은행의 매각 여부에 대해 얘기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 의견 제시일 뿐 구체적인 매각 계획에 대한 논의는 한 차례도 이뤄진 바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향후 하나로은행이 완전 정상화 되고 자본력과 규모를 갖춘 큰 대기업 등에서 매입 의사를 밝혀왔을 때나 가능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