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3일 결정하는 기준금리 인상여부에 따라 지역 서민들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최근 빨간불이 켜진 서민 가계부채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통위가 지난해 11월 이후 한 달씩 건너뛰면서 징검다리식 금리 인상을 해오며 금리 정상화 의지를 밝혀온 점을 고려하면 이번 달에도 기준금리 인상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4.7%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이후 다소 진정되는 분위기이지만 여전히 4%대로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3±1%)의 벗어나 있다는 것도 금리인상의 가능성을 점치게 하고 있다.
또 정부가 도시가스요금 인상 등 공공요금발 물가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금융전문가들은 금통위가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위해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8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신용대출 금리도 속속 인상되면서 서민들은 물가고와 이자부담 등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며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쪽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서민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부담 문제 등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대출 이자를 연체한 적이 있는 가구는 전체의 13.0%에 달하고 있다.
자영업자 곽모(31) 씨는 “요즘 공공 요금들이 인상된다는 소리에 손님도 뚝 끊긴 상태”라며 “심지어 과자가격도 오른 상황에 기준금리가 인상된다면 서민들은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최근 빨간불이 켜진 서민 가계부채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통위가 지난해 11월 이후 한 달씩 건너뛰면서 징검다리식 금리 인상을 해오며 금리 정상화 의지를 밝혀온 점을 고려하면 이번 달에도 기준금리 인상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4.7%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이후 다소 진정되는 분위기이지만 여전히 4%대로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3±1%)의 벗어나 있다는 것도 금리인상의 가능성을 점치게 하고 있다.
또 정부가 도시가스요금 인상 등 공공요금발 물가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금융전문가들은 금통위가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위해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8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신용대출 금리도 속속 인상되면서 서민들은 물가고와 이자부담 등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며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쪽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서민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부담 문제 등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대출 이자를 연체한 적이 있는 가구는 전체의 13.0%에 달하고 있다.
자영업자 곽모(31) 씨는 “요즘 공공 요금들이 인상된다는 소리에 손님도 뚝 끊긴 상태”라며 “심지어 과자가격도 오른 상황에 기준금리가 인상된다면 서민들은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