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시가 노후되고 비좁은 청사 문제로 업무 추진에 어려움을 겪자 청사 인근 상가를 임대해 공원녹지과 농업정책과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이로인해 관련 이들 과(科)의 경우 업무결재를 위해 본청을 방문하는 과정에서 시간낭비 등의 불편을 겪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낡고 비좁은 청사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는 청주시가 최근 본청에서 100여m나 떨어진 식당가 건물을 임대해 사용하는 궁여지책을 내놓자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시청사 이전문제가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12일 시에 따르면 최근 상당구 상당로 143번길 응석빌딩 1층과 3층 2개 층을 임대해 농업정책과와 공원녹지과 사무실을 이전하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그동안 협소한 사무실로 인해 발생했던 민원인들의 불편 해소와 함께 전산실 분산으로 초래되는 에너지 낭비 및 재난피해 방지가 주목적이다. 하지만 기존 청사와 맞닿아 접근성이 좋은 건물의 임대가 여의치 않아 궁여지책으로 본청과 100여m나 떨어진 식당가 한편에 별관을 마련하다보니 비정상적 형태가 돼버렸다.

직원들은 보다 넓은 사무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된 반면 각종 결재 및 타 부서 방문에 번거로움이 따르고, 민원인들은 본청에 주차를 하고 한참을 걸어 해당부서를 찾아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것.

또한 사전정보 없이 시청을 방문하는 민원인들이 공원녹지과 또는 농업정책과를 찾기 위해 청사나 뜬금없이 식당가를 헤매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결국 일부 청사공간을 확보하려다 또다른 불편을 초래하게 된 셈이다.

이렇다 보니 시청 안팎에서는 당장을 위한 궁여지책만을 내놓을 게 아니라 근본적인 청사문제 해결을 위해 과거 수차례 거론됐던 청주·청원통합을 염두에 둔 통합청사 문제를 공론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심공동화를 우려하는 현 시청사 인근 주민들의 반발 등을 인식하기보다는 인구 80만 도시의 탄생을 대비한 통합청사 마련 대책이 급선무란 지적이다.

현재까지 거론되고 있는 통합청사 마련 방안은 △현 청사 부지내 신축 △옛 대농지구 청사부지 활용 △청원지역 부지 활용 등 크게 세 가지다.

이 가운데 현 청사 부지내 신축은 매번 시청사 이전의 걸림돌이 됐던 도심공동화를 주장하는 지역민들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 신축기간중 임시 시청사로 사용해야할 대체시설을 찾아야 하는 과제가 뒤따른다. 또 인근 건물주가 건물 매입에 미온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시 외곽지나 청원지역의 값싼 제3의 부지를 찾아 신축이전하는 방안은 접근성과 지역 균형발전을 염두에 둔 입지조건을 갖춘 후보지 선정이 또다른 논란을 불러올 여지가 남아있다.

이 때문에 옛 대농지구 청사부지 활용 방안의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게 점쳐지고 있다.

대농지구는 통합의 구심점인 지리적 특성과 교통·청주공항·세종시·호남철 오송역 등과의 접근성이 뛰어나 입지조건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공공용지를 무상귀속 받아 800억 원 가량 소요되는 토지매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실제 일부 실무자들도 지구내 공공청사 부지가 2만6400㎡(8000평), 2만 3100㎡(7000평), 1만6500㎡(5000평) 등 3곳으로 나뉘어 있는 토지를 병합하면 통합청사로 활용하기에 최적지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비좁고 노후화된 시청사 문제가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지만 청사이전에 대한 계획은 현재로선 없다"며 "다만 앞으로 청주·청원통합을 염두에 두고 검토돼야 할 문제이니 만큼 오는 9월말 완료 예정인 청주·청원통합 연구 용역에 이 문제가 집중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