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X표 친 인사는 제외됐음. | ||
충북도가 오는 7월 1일 출범할 충북문화재단 이사진을 구성하면서 정치적 성향과 정무적 영향력 등을 선정 잣대로 삼아 지역 문화계 안팎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민선 5기 들어 각종 자문위원회 출범 때마다 진보성향 출신인사들을 위촉해 편향시비에 휘말렸지만, 무엇보다 정치색깔이 배제되고 순수성이 강조되는 문화예술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번 문화재단 이사진 구성에 따른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도는 최근 재단 초대 대표이사에 강태재(66)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를 내정한데 이어 이사진 21명을 구성했다. 이사진은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깊고 재단 운영에 열정과 애정이 있는 도내 거주자로, 시·군을 대표하는 이사, 도의회, 문화예술계(예총, 민예총, 문화원) 등으로부터 추천받은 이사를 포함해 성별·연령별·지역별·활동영역별·장르별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사진은 2년간(1회 연임가능) 재단의 '사업계획 및 예산 심의', '사업실적 및 결산 승인' 등 주요사항을 의결하게 된다. 재단의 기능은 지역문화예술단체간 네트워크 구축,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높이기 위한 위탁사업 등이다. 도는 이사진을 구성하면서 문화예술의 순수성만을 선발기준으로 삼았다고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정치적 이념과 정무적 영향력 등 정치색을 반영했다.
이는 도가 이시종 지사에게 올린 충북문화재단 이사진 검토 의견 보고서에 낱낱이 드러나있다.
추천된 이사들의 주요경력은 한 두 줄인 반면 ‘검토 의견란’에는 정치적 성향과 외부 정치활동, 개인성격 등이 비교적 자세히 적시돼 있다.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높이기 위해 순수성만 따졌다는 도의 설명이 ‘새빨간 거짓말’인 셈이다. 선정된 이사 중 김모 씨는 ‘진보적 성향에 선거조력, 차기 모 문화원장 유력, 이사 추천 손색없음’으로, 양모 씨는 ‘폭넓은 대외활동, 정무적 도움 가능’이라고 적혀 있다.
문화예술적 기여도나 활동사항, 향후 재단이사로서의 업무수행여부 등이 아닌 철저히 정치색만을 갖고 판단한 것이다. 추천대상자에서 제외된 3명의 인사들에 대한 기록을 보면 이사선정 기준이 오로지 정치적 성향 뿐이었다는 점이 입증된다. A 인사는 ‘연로하고 영향력 없음. 보수성향이 강함’, B 인사는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 민선4기 도정인수위원, 창작보다 포럼활동에 치중’, C 인사는 ‘전교조 교사, 민노당 성향, 이사진 위상에 미흡’이라고 기록했다.
이렇다보니 지역 문화예술계에서는 민선 5기 문화예술 정책이 순수성과 실력을 따지기 보다는 정치색깔, 전임 지사 측근 등 정치적 성향에 의해 좌지우지 되고 있다는 비난이 높다. 특히 문화재단이 도민을 위한 문화예술정책기구가 아닌 특정정당 우호단체 내지 ‘별똥부대’로 전락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문화예술계 한 인사는 “순수한 문화예술인을 선정하는데 왜 ‘보수성향’과 ‘정무적 활동여부’가 나오는지 모르겠다”면서 “문화예술계의 순수성과 대표성을 잃고 구성된 문화재단은 결국 도민을 위한 게 아니라 특정인과 특정집단을 위한 기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