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년 새해를 맞아 산적해 있는 충북의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도민의 총체적인 역량결집이 필요하다.
충북은 지난해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 유치, 초광역개발권의 내륙첨단벨트 추가지정, 자유경제구역 지정 등 굵직굵직한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소관부처가 국무총리실에서 오송생명과학단지를 조성한 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되면서 오송 유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2단계 지역발전정책에서 국토균형발전 차원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수도권 제외 가능성을 열어 놓아 가장 강력한 경쟁지역인 인천 송도, 광교 등과의 경쟁을 피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오는 6월 입지선정까지 여타 지역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여 마지막까지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 유치에 대한 지역의 역량결집이 절실해졌다.
국토를 4개 벨트에서 5개 벨트로 설정해 개발하는 초광역개발권의 내륙벨트 추가지정 역시 향후 지역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정에 따른 경쟁력 있는 국가주도산업 프로젝트 구상도 올 상반기 중에 노력해야할 과제다.
또 정부의 주요 국책사업 중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와 녹색성장정책에 대한 지역의 적극적인 대처도 요구되고 있다.
정부가 오는 2010년까지 무려 14조 원이 소요되는 대규모 국가프로젝트인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사업을 지난 12월 29일 안동에서 시작했다. 이 사업 첫 해인 올해 8000여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하지만 충북의 경우 200여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것에 그쳐 당장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충북의 경우 4대강 중에서 북부지역은 한강과 중남부지역은 금강유역을 끼고 있어 대규모 국가프로젝트 수혜지역이 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할 상태다.
지구온난화 대책 등 정부가 핵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 중의 하나인 녹색정책도 어떻게 대처하는냐에 따라서 충북의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는 기회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강원도 등 다른 지자체들의 발빠른 대응과는 비교될 정도로 충북의 대처능력이 저평가되고 있다. 2개의 댐과 3개의 국립공원을 보유하고 있어 오랫동안 개발제한에 묶이는 불이익을 받았으나 이제 녹색성장정책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수 십 년 동안의 불이익을 보상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을 보인다.
이밖에 수도권 규제완화에 따라 충북도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경제특별도 건설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있어 위기극복을 위한 총체적인 대처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아울러 진천·음성혁시도시인 중부신도시의 공공기관 이전, 기업유치 등 차질없는 건설과 충주기업도시의 원활한 기업유치 역시 올해 각 지자체는 물론 도민들의 결집된 역량을 필요로 하는 과제들이다.
도 관계자는 “올해는 정부의 새 정책들이 구체화·본격화되는 시점인 만큼 여러 가지 산적해 있는 각종 현안들에 대해 철저히 분석하고 대처해 지역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충북은 지난해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 유치, 초광역개발권의 내륙첨단벨트 추가지정, 자유경제구역 지정 등 굵직굵직한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소관부처가 국무총리실에서 오송생명과학단지를 조성한 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되면서 오송 유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2단계 지역발전정책에서 국토균형발전 차원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수도권 제외 가능성을 열어 놓아 가장 강력한 경쟁지역인 인천 송도, 광교 등과의 경쟁을 피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오는 6월 입지선정까지 여타 지역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여 마지막까지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 유치에 대한 지역의 역량결집이 절실해졌다.
국토를 4개 벨트에서 5개 벨트로 설정해 개발하는 초광역개발권의 내륙벨트 추가지정 역시 향후 지역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정에 따른 경쟁력 있는 국가주도산업 프로젝트 구상도 올 상반기 중에 노력해야할 과제다.
또 정부의 주요 국책사업 중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와 녹색성장정책에 대한 지역의 적극적인 대처도 요구되고 있다.
정부가 오는 2010년까지 무려 14조 원이 소요되는 대규모 국가프로젝트인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사업을 지난 12월 29일 안동에서 시작했다. 이 사업 첫 해인 올해 8000여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하지만 충북의 경우 200여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것에 그쳐 당장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충북의 경우 4대강 중에서 북부지역은 한강과 중남부지역은 금강유역을 끼고 있어 대규모 국가프로젝트 수혜지역이 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할 상태다.
지구온난화 대책 등 정부가 핵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 중의 하나인 녹색정책도 어떻게 대처하는냐에 따라서 충북의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는 기회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강원도 등 다른 지자체들의 발빠른 대응과는 비교될 정도로 충북의 대처능력이 저평가되고 있다. 2개의 댐과 3개의 국립공원을 보유하고 있어 오랫동안 개발제한에 묶이는 불이익을 받았으나 이제 녹색성장정책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수 십 년 동안의 불이익을 보상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을 보인다.
이밖에 수도권 규제완화에 따라 충북도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경제특별도 건설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있어 위기극복을 위한 총체적인 대처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아울러 진천·음성혁시도시인 중부신도시의 공공기관 이전, 기업유치 등 차질없는 건설과 충주기업도시의 원활한 기업유치 역시 올해 각 지자체는 물론 도민들의 결집된 역량을 필요로 하는 과제들이다.
도 관계자는 “올해는 정부의 새 정책들이 구체화·본격화되는 시점인 만큼 여러 가지 산적해 있는 각종 현안들에 대해 철저히 분석하고 대처해 지역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