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민주당 충청권 시ㆍ도당 의원들이 9일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 사항인 과학벨트를 충청권에 조성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 ||
민주당 충청권 3개 시·도당은 9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분산배치 반대 및 세종시 입지를 촉구하면서 “지켜지지 않을 경우 ‘정권퇴진운동’에 나서겠다”고 강력 경고했다.
민주당 박범계 대전시당 위원장, 양승조 충남도당 위원장, 오제세 충북도당 위원장, 박병석 국회의원(대전 서갑) 등은 이날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은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자 한나라당의 총선공약”이라며 "그러나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은 ‘형님벨트’, ‘정치벨트’를 위해 과학벨트입지선정위원회의 평가가 공정한 것처럼 포장해 위장과 밀실공작을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압축된) 10개 후보지 중 충청권 3개를 포함한 것은 구색 맞추기일 뿐이며, 충청권을 분열시키려는 비열한 책동”이라며 “정부의 이런 방침은 세종시 원안을 지켜낸 충청인에 대한 비열한 정치보복이자 모든 과학자가 반대하는 과학벨트 분산배치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또 “국내 과학자의 82%가 충청권을 과학벨트 최적지로 꼽았고, 지형·지리적으로도 과학벨트 입지의 가장 좋은 요건을 갖추고 있다”며 “이명박 대통령은 이런 점을 고려해 과학벨트를 공약대로 충청권에 조성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이날 기자회견에 나선 대전·충남·충북 시도당 위원장들은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에는 동의하면서도 충청권 ‘특정 지역’에 대해선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였다.
‘과학벨트 입지가 세종시 외에 충청권 다른 지역으로 결정되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박병석 의원은 “민주당 충청권 3개 시·도당은 과학벨트 입지가 충청권으로 결정되면 동의한다고 합의한 바 있다”며 “세종시를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세종시 조성 입장을 피력했다.
반면 양승조 충남도당 위원장은 “3개 시·도의 공조체계는 흔들림이 없다”라면서도 “충청권 어디가 됐든 충청권에 입지를 확정하면 공약 사항은 지킨 것이고, 공조 체제도 흔들림 없다”고 말했다.
오제세 충북도당 위원장도 “서로 합심하기로 한 것은 확인된 사항”이라고 밝힌 후 “세종시를 제외한 충청권 어느 지역에 입지해도 충청권 하나로 본다”며 세종시 등 특정지역에 대한 언급은 자제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