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4월 재보궐 선거 이후 당 쇄신 작업에 본격적으로 돌입하면서 내년 총선, 대선을 앞두고 정계개편 등이 이뤄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집권여당인 한나라당은 재보선 이후 지도부가 총 사퇴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지만 당내 계파 간 갈등으로 내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나라당 쇄신의 핵심은 이른바 소장파로 주류인 친이(친 이명박)계를 압박하고 있다.
4·27 재보선 패배 후 친이계 퇴진론을 들고 나온 이들은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친 박근혜)계와 연합해 비주류의 황우여 의원을 당선시켰고, 이제 당 비상대책위라는 ‘한시적 당권’을 놓고 친이계와 격돌하는 상황이다. 이들은 ‘새로운 한나라’라는 초재선 의원 모임을 만들어 당내 세력화를 꾀하고 있는데 10일에도 모임을 갖고 비대위 구성 등에 대해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4월 재보선 이후에도 ‘낮은 자세’ 모드로 일관중인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 역시 미래를 향한 자기 혁신의 흐름을 놓치지 말고 혁신·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며 “당원구조 및 공천개혁을 내용으로 하는 중점 개혁과제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손 대표가 검토하겠다는 당 제도는 전당원투표제, 대통령 후보 선출시 완전 국민경선제 등으로 도입될 경우 당내외 파장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민주당은 당 개혁안을 빠르게 처리하고 외부인재 영입 등 인적 쇄신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당 기반인 호남권 현역의원들의 물갈이론이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 인적쇄신의 방향에 관심이 모아진다.
원내 3당인 자유선진당도 이회창 대표가 이날 전격적으로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쇄신의 물꼬를 텄다.
이 대표는 변화의 물꼬를 트겠다는 입장을 천명하며 스스로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하향식 공천제도 폐지, 국민경선제도 도입을 당개혁 안으로 제시했다.
이 대표는 “충청권의 분열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해 심대평 대표의 국민중심연합과의 합당 작업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이 대표가 선진당 중심의 통합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반면 심 대표는 충청 정치권 제세력이 새로운 지점에서 뭉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조율과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집권여당인 한나라당은 재보선 이후 지도부가 총 사퇴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지만 당내 계파 간 갈등으로 내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나라당 쇄신의 핵심은 이른바 소장파로 주류인 친이(친 이명박)계를 압박하고 있다.
4·27 재보선 패배 후 친이계 퇴진론을 들고 나온 이들은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친 박근혜)계와 연합해 비주류의 황우여 의원을 당선시켰고, 이제 당 비상대책위라는 ‘한시적 당권’을 놓고 친이계와 격돌하는 상황이다. 이들은 ‘새로운 한나라’라는 초재선 의원 모임을 만들어 당내 세력화를 꾀하고 있는데 10일에도 모임을 갖고 비대위 구성 등에 대해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4월 재보선 이후에도 ‘낮은 자세’ 모드로 일관중인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 역시 미래를 향한 자기 혁신의 흐름을 놓치지 말고 혁신·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며 “당원구조 및 공천개혁을 내용으로 하는 중점 개혁과제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손 대표가 검토하겠다는 당 제도는 전당원투표제, 대통령 후보 선출시 완전 국민경선제 등으로 도입될 경우 당내외 파장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민주당은 당 개혁안을 빠르게 처리하고 외부인재 영입 등 인적 쇄신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당 기반인 호남권 현역의원들의 물갈이론이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 인적쇄신의 방향에 관심이 모아진다.
원내 3당인 자유선진당도 이회창 대표가 이날 전격적으로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쇄신의 물꼬를 텄다.
이 대표는 변화의 물꼬를 트겠다는 입장을 천명하며 스스로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하향식 공천제도 폐지, 국민경선제도 도입을 당개혁 안으로 제시했다.
이 대표는 “충청권의 분열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해 심대평 대표의 국민중심연합과의 합당 작업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이 대표가 선진당 중심의 통합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반면 심 대표는 충청 정치권 제세력이 새로운 지점에서 뭉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조율과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