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문계고의 취업률이 최근 10년 사이 50%대에서 1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9일 공개한 '2010년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4월 현재 전국의 전문계고는 692개교, 재학생은 46만 388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1년 775개교에 재학생 57만 8865명과 비교해 10년 사이 학교 수는 10%, 재학생 수는 20% 감소한 수치다.
취업률은 지난 2001년 54.7%에서 2010년 19.2%로 크게 감소했다.
반면 진학률은 지난 2001년 40.8%에서 2010년 71.1%로 높아졌다.
취업률과 진학률이 10년 사이 크게 역전된 것이다.
취업 목적의 전문계고에서 취업률보다 진학률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처음 나타난 것은 지난 2003년으로 당시 취업률은 44.4%, 진학률은 52.7%를 나타냈다.
이후 취업률은 낮아지고 진학률은 높아지는 격차가 지속되다가 지난 2009년에는 취업률이 16.7%, 진학률은 73.5%까지 치솟았다.
전문계고의 계열별 취업률과 진학률은 지난 2010년 △농업고가 15.7%와 72.1% △공업고 21.2%와 67.1% △상업고 22.3%와 69.0% △수산ㆍ해운고 40.4%와 53.9% △가사ㆍ실업고 20.9%와 71.2% △종합고 9.3%와 82.7% 이다.
전문계고의 입학경쟁률은 10년간 1대 1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 2001년 1.04대 1에서 2003년 0.96대1, 2005년 1.07대1, 2008년 1.13대1, 2010년 1.04대 1이다.
전문계고의 진학률이 높아진 이유로는 다양한 방식의 대학입학 특별전형이 도입돼 전문계고 학생들이 입시관문을 뚫기가 용이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전문계고 졸업 후 곧바로 기업체에 입사해도 고교 졸업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여전하고 대졸자와 비교해 임금차가 심해 취업보다 진학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