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중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후보지가 5곳으로 압축될 예정에 있어 충북 청원군 오송·오창 등의 포함 여부가 주목된다.
특히, 충북은 실리론 부상에도 불구 세종시 거점지구 충청권 공조 원칙을 고수하고 있어 과학벨트 후보지 결정에 따라 후유증의 강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과학벨트위원회 입지평가위원회는 오는 11일경 3차 회의를 열고 10곳의 후보지를 5곳으로 압축할 예정이다.
입지평가위는 지난달 28일 과학벨트 입지 후보지역으로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울산, 창원, 포항, 천안, 청원, 구미 등 10곳으로 압축했다.
충청권은 청원(오송·오창), 대전, 천안이 포함된 반면 세종시 탈락설로 반발 분위기가 이어졌고, 공조 붕괴 우려감에 휩싸였다.
충청권은 세종시 거점도시 공조 원칙을 재확인하면서 연일 정부를 압박하고 있지만, 천안이 단독 유치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공조 분위기를 흩트려 놓았다.
여기에 충청권 지자체가 공동으로 ‘우선 대상지’로 내세웠던 세종시의 탈락설이 나오면서 공조 붕괴 분위기가 팽배해졌다.
충청권 지자체가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공조 원칙을 재확인했지만, 세종시가 제외되고 청원(오송·오창), 대전, 천안이 포함되면서 공조 관계 붕괴와 경쟁 관계 전환에 대한 우려감이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도 충청권 지자체는 다른 지역이 유치전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과는 달리 세종시 거점지구 공조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10곳의 거점지구 후보지 중 충청권 3곳이 포함된 만큼 5곳으로의 압축 결과에 따라서 파장이 예상된다. 이는 겉으로는 세종시 거점지구 공조 원칙을 재확인한 충청권 지자체가 상황에 따라서는 경쟁 관계로 전환될 가능성에 따른 것이다. 과학벨트 거점지구 후보지 5곳에 충청권 3곳 중에서 단 한 곳이라도 포함되지 못할 경우 해당 지역의 반발이 거세질 뿐 아니라 공조 체제 붕괴가 현실화될 수 있다.
충청권의 세종시 거점지구 공조 원칙의 들러리 경계론과 실리론이 부상하고 있는 충북은 청원군이 거점지구 후보지 5곳에서 제외될 경우 실익 없는 충청권 공조에 대한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 대전도 탈락할 경우 후유증이 클 것으로 예상되면서 각 지자체는 정중동 속에서 과학벨트위원회 입지평가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역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입지평가위원회가 거점지구 최종 후보지역과 기능지구 입지를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서 후유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며 “여러 경우의 수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