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3개 시·도 공조 흔들림 없다는데 왜 흔드나.’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3개 시·도가 뜬금없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수 공조 붕괴설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급기야 3개 시·도는 지난 6일 ‘과학벨트 조성 충청권 3개 시·도 공조에 이상이 없다’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진화에 나섰다.

공조 붕괴설은 지난 달 28일 과학벨트입지평가위원회가 53개 후보지를 10개 지역으로 압축한 결과, 세종시를 탈락시켰고 대전과 충남 천안, 충북 오송·오창을 후보지로 선정했다는 내용이 일부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부터 시작됐다.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주장하던 세종시는 제외된 반면, 각 시·도의 후보지들이 포함되면서 공조가 약화되고 무한 경쟁에 돌입할 것이란 추측이 나오는 상황이 연출됐다.

여기에 정부가 그동안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을 거론하며 정부를 강하게 압박한 충청권 공조의 목소리를 와해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대전과 충남, 충북의 후보지를 포함시켰다라는 음모론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3개 시·도지사는 지난 6일 긴급 성명서를 발표하고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와 관련한 3개 시·도 공조는 지속될 것이며 이를 위해 상호 최선을 다해 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또 과학벨트 후보지에 세종시가 탈락했다는 것과 관련 “정부가 과학벨트를 선택과 집중을 통한 과학진흥이 아닌 분산배치를 통해 나눠먹기식으로 결정한다”며 “충청권을 과학벨트 후보지로 내부 분란을 일으켜 공조를 흩뜨리게 하려는 것이 아닌가 심히 우려스럽다”고 비난했다.

이어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위한 3개 시·도의 공조는 변함없이 굳건하다”며 “언론 보도와 같이 충청권이 배제된다면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정책에 대한 불신을 자초한 정부와 여당이 그 책임을 모두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광기 대전대 교수(정치언론홍보학과)는 “현재 세종시 탈락에 이어 대전과 충남, 충북이 각각 후보지로 거론된 만큼 과학벨트를 둘러 쌓고 정부와 충청권이, 충청권 내 각 지역이 서로 민감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며 “민감한 사안인 만큼 정부 음모론이나, 소지역이기주의처럼 각종 추측성 설이 난무할 수 있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가 될 수 있어 보다 신중한 상황 판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과학벨트 입지평가위원회는 오는 11일 3차 회의를 열고 10곳으로 압축된 과학벨트 후보지를 5곳으로 재차 압축할 계획이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