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황금연휴기간(골든위크)을 맞은 일본·중국인 관광객들이 국내로 몰려들고 있지만, 대전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대폭 줄어 지역 호텔·여행업계가 울상 짓고 있다.
8일 지역 여행업계·호텔 등에 따르면 골든위크를 맞아 지난달 말부터 국내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평소보다 50만 명 이상 늘은 반면, 대전지역을 방문한 일본·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은 오히려 급감했다.
5월 황금연휴 기간을 맞아 서울 및 경기, 부산, 대구 등의 여행업계 및 호텔들이 바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도 유독 대전지역관련 업계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수학여행, 관광, 패키지, 기업연수 등 단체 관광객들이 꾸준히 국내로 찾아들고 있지만 대전지역 호텔·여행업계 등은 이와 관련된 문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성지역 모 호텔 관계자는 “일본 대지진의 파장이 수그러들면서 일본인 관광객 예약률 증가를 조심스럽게 점쳤었지만 현재 예약은 전무한 상황”이라며 “수년 전 까지만 해도 일본인 수학여행단, 관광객 등 많은 외국인들이 지역을 찾았지만 골든위크와 상관없이 발길이 뚝 끊겼다”고 말했다.
또 대부분의 호텔들이 비즈니스 등으로 지역을 찾는 외국인 방문객 외에 관광을 목적으로 한 숙박예약은 전무하다는 것이 지역 호텔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문제는 지역 여행업계 및 호텔 등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 의지는 물론 이에 대한 대안 마련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점이다. 외국인 관광객 급감이유를 미흡한 관광 인프라 탓으로 돌리며 어쩔수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 하고 있다.
지역 여행업계 관계자는 “대전지역은 외국인들의 구미를 당기게 하는 관광지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홍보를 한다고 해도 홍보비만 낭비할 뿐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 힘들다”고 말했다.
더욱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 자격을 갖춘 ‘인바운드’ 전문 여행사가 극소수에 불과한데다, 자격요건을 갖췄다하더라도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결국 수도권 등 타 지역 대형 여행사들이 외국인 관광객 등을 뺏어가다시피 하고 있지만 지역 여행·호텔 업계는 알면서도 당하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유독 국내에서의 씀씀이가 큰 것으로 알려진 중국인 관광객들까지 놓치면서 지역 백화점 등 유통업계는 아쉬운 한숨만 내쉬고 있다.
이일행 대전시관광협회 회장은 “최근 일본인 관광객 1만 명 유치를 목표로 인바운드 여행사들과 MOU 체결 및 T/F팀을 구성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지자체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며 “지자체 및 여행·호텔업계들이 합심해 일본 등 외국인 관광객 급감 이유를 분석,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골든위크는 매년 4월 말부터 5월 초 한국을 찾는 일본·중국 등 외국인들의 유입이 늘어나 관광특수가 발생하는 시기를 말한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8일 지역 여행업계·호텔 등에 따르면 골든위크를 맞아 지난달 말부터 국내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평소보다 50만 명 이상 늘은 반면, 대전지역을 방문한 일본·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은 오히려 급감했다.
5월 황금연휴 기간을 맞아 서울 및 경기, 부산, 대구 등의 여행업계 및 호텔들이 바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도 유독 대전지역관련 업계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수학여행, 관광, 패키지, 기업연수 등 단체 관광객들이 꾸준히 국내로 찾아들고 있지만 대전지역 호텔·여행업계 등은 이와 관련된 문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성지역 모 호텔 관계자는 “일본 대지진의 파장이 수그러들면서 일본인 관광객 예약률 증가를 조심스럽게 점쳤었지만 현재 예약은 전무한 상황”이라며 “수년 전 까지만 해도 일본인 수학여행단, 관광객 등 많은 외국인들이 지역을 찾았지만 골든위크와 상관없이 발길이 뚝 끊겼다”고 말했다.
또 대부분의 호텔들이 비즈니스 등으로 지역을 찾는 외국인 방문객 외에 관광을 목적으로 한 숙박예약은 전무하다는 것이 지역 호텔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문제는 지역 여행업계 및 호텔 등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 의지는 물론 이에 대한 대안 마련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점이다. 외국인 관광객 급감이유를 미흡한 관광 인프라 탓으로 돌리며 어쩔수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 하고 있다.
지역 여행업계 관계자는 “대전지역은 외국인들의 구미를 당기게 하는 관광지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홍보를 한다고 해도 홍보비만 낭비할 뿐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 힘들다”고 말했다.
더욱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 자격을 갖춘 ‘인바운드’ 전문 여행사가 극소수에 불과한데다, 자격요건을 갖췄다하더라도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결국 수도권 등 타 지역 대형 여행사들이 외국인 관광객 등을 뺏어가다시피 하고 있지만 지역 여행·호텔 업계는 알면서도 당하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유독 국내에서의 씀씀이가 큰 것으로 알려진 중국인 관광객들까지 놓치면서 지역 백화점 등 유통업계는 아쉬운 한숨만 내쉬고 있다.
이일행 대전시관광협회 회장은 “최근 일본인 관광객 1만 명 유치를 목표로 인바운드 여행사들과 MOU 체결 및 T/F팀을 구성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지자체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며 “지자체 및 여행·호텔업계들이 합심해 일본 등 외국인 관광객 급감 이유를 분석,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골든위크는 매년 4월 말부터 5월 초 한국을 찾는 일본·중국 등 외국인들의 유입이 늘어나 관광특수가 발생하는 시기를 말한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