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알콜중독자 등의 재활을 돕기 위해 각 시·군마다 사례관리사를 배치하고 사회복지 위기사례관리서비스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도에서는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자칫 형식적 서비스로 전락될 우려를 낳고 있다.
도는 지난 2008년부터 의료급여사례관리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지난해부터는 위기가정에 대한 사례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각 시·군·구는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와 위기 사례관리사를 배치, 기초생활수급자 등을 대상으로 방문이나 전화 상담을 통해 이들의 애로점이나 요구사항 등을 수시로 파악해 바로잡는 등 삶의 의욕을 키워주고 있다.
이처럼 기초지자체에서는 사례관리사들이 1대1로 대상자들과 접촉하면서 이들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7도움을 주고 있으나 이를 종합적으로 취합·분석해야 하는 도에서는 실시간으로 이를 알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각 시·군에서는 담당자들이 의뢰건수, 상담건수, 종결건수 등으로 구분해 사례관리를 하면서 도입에서부터 마무리까지 완벽한 관리를 하고 있으나 도에서는 이를 파악하려면 일일이 시·군에 공문을 하달해 보고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이런 문제점에 대한 자체적인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반면 이보다 먼저 시작된 의료급여사례관리서비스의 경우 도 담당자가 사례관리대상자를 일시, 유지, 집중, 위기 등으로 상태를 분류하고 방문상담건수, 전화상담건수, 서신, 내소(來所), 자원연계 등 수행건수와 종결건수까지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현재의 위기사례관리시스템은 일선 시·군·구에서 입력하는 자료를 보건복지부에서 취합하도록 돼 있어 도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며 "이같은 문제점에 대해 보건복지부에 건의를 해 조만간 도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했으나 아직까지 이렇다할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도내에서 위기사례관리를 의뢰한 가구는 모두 2627가구였으며 이중 2598가구에 대해 사례관리가 이뤄졌다. 김규철 기자 qc2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