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청원·청주통합군민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청주시 지북동 옛 청원군보건소 청사에서 개소식과 현판 제막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세번의 실패를 거쳐 이시종 충북도지사, 한범덕 청주시장, 이종윤 청원군수가 청주·청원 통합을 공약으로 당선된 후 추진 중인 통합 과정에서 협의회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청주시 여론이 대부분 통합에 찬성인 상황에서 찬·반으로 갈린 청원군민들의 뜻을 모으고, 청주시와의 통합 협의에 나서는 것도 협의회의 몫이다. 협의회가 앞으로 할 역할과 과제를 짚어봤다.
◆역할
협의회는 배금일 청원문화원장과 이수한 청원군노인복지관장이 공동 회장을 맡았다. 부위원장은 신관수·임필수 씨, 감사는 김홍기·오택균 씨, 사무국장에는 남기용 씨가 선출됐다.
협의회는 앞으로 통합과 관련된 군민 찬·반 갈등 순화, 청주·청원 양 지역의 상생발전 방안 발굴, 통합에 대한 주민 공감대 형성 등의 업무를 맡는다. 또 청주·청원 통합 시 모델제시를 위한 연구용역에 참여하고, 타 통합자치단체 견학을 통해 장·단점을 분석한다. 청주와 청원의 상생발전 전략 및 통합을 위한 정부지원재원 요구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군민의 우려 사항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 통합 공감대 형성 방안 연구 등을 통해 통합에 대한 긍정·부정적 효과도 분석하고, 각 읍·면별 토론회 및 공청회를 통한 여론도 수렴할 계획이다.
◆과제
야심차게 출발한 협의회지만 출범 과정부터 우려의 시각도 적지 않다. 상당수 협의회원들이 전·현직 직능단체원이라는 점은 또 다른 관 위주 통합 추진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런 지적에서 벗어나기 위해 협의회는 군으로부터 철저히 독립해 독자적 활동을 벌여야 한다.
통합 추진 과정에서 발 빠른 추진력도 필수다.
협의회는 찬·반·중립 성향의 인사들이 고루 포진해 있다. 청원군민들의 뜻을 고르게 반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통합 추진 과정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미칠 협의회내에서 찬·반 의견을 가진 협의회원들끼리 대립하면 통합 로드맵 자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나친 청원군 위주의 시각도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충북도와 청주시는 통합에 나서는 청원군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있으며,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하지만 청원군이 청주시의 일방적 희생·양보만을 요구하면 청주시 일각에서 이에 대한 회의론이 일 수 있고, 이는 다시 청원군민들이 청주시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악순환을 낳을 수 있다.
지난 통합 논의 과정에서 찬성을 주장했던 청원군 지역 원로 A 씨는 “통합을 공약으로 내세운 자치단체장들이 당선된 것은 이미 주민들이 통합에 찬성한 것이라고 봐야 한다”며 “이런 군민들의 뜻에 맞춰 협의회는 감정적 대립을 배제하고 통합을 통해 청주·청원이 상생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