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세종시와 도청이전신도시(내포신도시)가 새롭게 조성되면서 주변 지역 공동화 현상이 우려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대응책이 마련되지 않아 충남도가 고심에 빠졌다.
충남도는 ㈔충남도시건축연구원과 함께 지난 4일 천안중앙교회에서 ‘천안 명동 원도심 활성화’를 비롯해 세종시 및 내포신도시 건설에 따른 지역 공동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한·일 도시건축 워크숍을 개최했다.
도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천안 명동의 원도심 활성화와 함께 세종시 및 내포신도시 등 새롭게 탄생하는 신도시 주변지역의 공동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 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뚜렷한 대안을 도출하지 못한 채 단순 주제발표 수준으로 워크숍이 마무리돼, 도내 공동화 현상을 대비하기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현재 도가 직면한 공동화 현상으로, 천안 명동의 경우 인근 오룡동 천안시청과 천안역 사이에서 대표적인 지역 상권으로 명성을 이어 갔지만, 신부동 천안터미널에 백화점이 들어서고 천안시청이 지난 2005년 불당동으로 이전하며 상권이 크게 위축돼 활력을 잃었다.
또 홍성과 예산 일대에 새롭게 이전하는 내포신도시는 2013년까지 인구 1만 5000명,포2015년에는 5만 명, 2020년까지 인구 10만 명을 확보한다는 계획으로 성공적 신도시 건설을 위해 인구 유입을 최대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유치원을 비롯해 초·중·고교, 특성화 대학 등 최상의 교육 여건을 마련하고 병원을 비롯해 녹지 공간을 확보하는 등 이주민들을 위한 최적의 거주환경을 조성, 인구 유입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근 지역인 홍성과 예산 주민들이 내포신도시로 쏠릴 수밖에 없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세종시의 경우 국가가 관리하는 특별자치시라는 강점과 함께 인근 지역들과 비교해 우월한 도시가 형성될 것이란 기대가 일면서 주변 지역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될 것이란 게 중론이다.
이렇듯 도내 공동화 현상으로 인한 피해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도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향후 신·구 도시 간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도는 공동화 현상을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기존 구도심에 대한 도시정비사업 등이 불가피 하지만 부동산 경기 위축 등의 이유로 사업시행사 확보를 비롯해 사업비 마련 등에 난점이 있다는 설명으로 향후 공동화 현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도 관계자는 “무엇보다 주민들이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한 의지를 보이고 원도심 활성화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는 게 중요하다”며 “우선 주민 및 해당 시·군의 추진의지를 확인한 후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충남도는 ㈔충남도시건축연구원과 함께 지난 4일 천안중앙교회에서 ‘천안 명동 원도심 활성화’를 비롯해 세종시 및 내포신도시 건설에 따른 지역 공동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한·일 도시건축 워크숍을 개최했다.
도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천안 명동의 원도심 활성화와 함께 세종시 및 내포신도시 등 새롭게 탄생하는 신도시 주변지역의 공동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 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뚜렷한 대안을 도출하지 못한 채 단순 주제발표 수준으로 워크숍이 마무리돼, 도내 공동화 현상을 대비하기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현재 도가 직면한 공동화 현상으로, 천안 명동의 경우 인근 오룡동 천안시청과 천안역 사이에서 대표적인 지역 상권으로 명성을 이어 갔지만, 신부동 천안터미널에 백화점이 들어서고 천안시청이 지난 2005년 불당동으로 이전하며 상권이 크게 위축돼 활력을 잃었다.
또 홍성과 예산 일대에 새롭게 이전하는 내포신도시는 2013년까지 인구 1만 5000명,포2015년에는 5만 명, 2020년까지 인구 10만 명을 확보한다는 계획으로 성공적 신도시 건설을 위해 인구 유입을 최대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유치원을 비롯해 초·중·고교, 특성화 대학 등 최상의 교육 여건을 마련하고 병원을 비롯해 녹지 공간을 확보하는 등 이주민들을 위한 최적의 거주환경을 조성, 인구 유입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근 지역인 홍성과 예산 주민들이 내포신도시로 쏠릴 수밖에 없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세종시의 경우 국가가 관리하는 특별자치시라는 강점과 함께 인근 지역들과 비교해 우월한 도시가 형성될 것이란 기대가 일면서 주변 지역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될 것이란 게 중론이다.
이렇듯 도내 공동화 현상으로 인한 피해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도는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향후 신·구 도시 간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도는 공동화 현상을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기존 구도심에 대한 도시정비사업 등이 불가피 하지만 부동산 경기 위축 등의 이유로 사업시행사 확보를 비롯해 사업비 마련 등에 난점이 있다는 설명으로 향후 공동화 현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도 관계자는 “무엇보다 주민들이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한 의지를 보이고 원도심 활성화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는 게 중요하다”며 “우선 주민 및 해당 시·군의 추진의지를 확인한 후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