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학생 흡연율이 줄지 않고 있는데다, 흡연 연령까지 낮아지고 있어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실제 대전시교육청이 지난해 지역학생 흡연율을 조사한 결과 초등생 5.2%, 중학생 11.8%, 고교생 15.4%가 지속적으로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전체학교 중 초 5·6학년 및 중·고등학교 학년당 2학급만을 추려 표본조사한 결과로 실질적인 흡연율은 이보다 높을 수 있다는 것이 교육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충남지역 초·중·고교생 역시 전체 학생의 약 10%가 흡연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충남도교육청이 지난해 관내 750개 전체 학교에 대해 한 달 간 학생흡연실태 현황에 대해 자체조사를 한 결과 조사학생(21만 8409명) 중 흡연을 경험한 학생 수는 2만 1396명으로 9.8%를 차지했다.

문제는 이처럼 청소년 상당수가 지속적인 흡연을 이어가고 있지만 교육당국이 내놓고 있는 대책들은 10년 전과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점이다.

더욱이 흡연학생 저연령화는 물론, 여학생 흡연율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데도, 맞춤형 흡연 예방교육은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물론 교육청 및 일선학교들이 금연 선서식 등을 통해 학생들의 흡연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시키고 있지만, 이에 따른 효과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역 모 고등학생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흡연예방 교육은 결국 ‘몸에 해롭다’고 설득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어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도교육청은 올해 역시 일정 예산을 들여 지역 내 극소수 금연 선도학교를 선정, 이를 중심으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는 등 대책을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매년 그랬듯이 예방교육이 ‘헛구호’에 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흡연 적발 시 꾸중으로 일단락될 뿐 개인상담 등 세심한 예방책은 없다”며 “단순한 흡연예방교육은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없다. 청소년 자신의 금연의지를 심어줄 수 있는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학생흡연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만큼 보건소 및 한의원 등과 연계해 사회전반적인 금연 대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상반기내로 학생흡연실태조사를 다시 실시해 보다 실효성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