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만 원이 넘는 차를 사는데 어떻게 10만 원도 할인이 안돼요? 신경 좀 써 주세요.”(소비자)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할인 못해드린다니까요. 걸리면 영업소 문 닫아야돼요.”(영업소 직원)

지난 3월 4일부터 '프라미스 투게더'라는 차량 가격 정찰제를 시행하고 있는 현대자동차의 한 판매영업소에서는 지난달 29일 ‘추가 할인’을 두고, 소비자와 영업사원간 실랑이가 벌어졌다.

YF소나타를 구입하려고 이곳을 방문했다는 최모(44) 씨는 영업소 직원으로부터 본사에서 내려온 판매조건 이외에는 어떠한 할인과 옵션도 붙일 수 없다는 말을 듣고 아쉬운 마음에 ‘흥정’을 붙여봤지만 허사로 돌아갔다.

최 씨는 “아무리 그래도 3000만 원에 달하는 차를 사는데 조금의 에누리도 없다니 아쉬웠다”면서 “판매직원이 자꾸 본사에서 내려온 점검반(미스터리 쇼퍼)이 아니냐며 의심하는 통에 흥정을 그만 뒀다”고 말했다.

인근 기아자동차 영업소도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이날 K5를 사기 위해 영업소를 찾았던 김모(33) 씨 역시 판매조건에 적힌 10만 원 할인 이외에는 그 어떠한 혜택도 받지 못한 채 발길을 돌려야 했다.

김 씨는 “기아자동차도 오는 3일부터 정찰제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할인해 달라는 요구에 직원이 펄쩍 뛰더라”라며 “아직 실시 안했으니 할인해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직원은 정찰제가 출고 기준으로 적용돼 도저히 방법이 없다는 말만 반복했다”고 말했다.

현대차를 시작으로 자동차 가격 정찰제가 시행되면서 이 같은 소비자와 직원 간의 실랑이는 흔한 풍경이 되고 있다.

또 기아차를 비롯한 한국GM 등 국내 자동차 업계도 조만간 차량 가격 정찰제를 확대 실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영업소 관계자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이들 영업소 관계자는 본사에서 진행하는 정찰제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경우 영업정지 및 수당 환수 등의 조치가 이뤄지기 때문에 절대로 추가할인을 해 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 판매직원은 “정찰제 실시 이후에도 여전히 할인을 요구하는 고객들은 많은 상황이지만 실제로 할인이 이뤄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본사에서 암행점검을 철저히 하고 있어 영업직원들 입장에서도 안타깝지만 추가 할인을 해 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신차를 구입한 채모(32) 씨는 “같은 차량을 샀는데 가격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차량 정찰제가 정착된다면 차량 구입 과정이 효율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반대 의견을 낸 이모(45) 씨는 “그 동안 영업소에서 할인해 준 금액이 고스란히 소비자의 부담으로 돌아가 제조회사만 이익 아니냐”며 “정찰제에도 부끄럽지 않도록 국내 자동차 제조사들이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을 선보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