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업체의 LPG가격 인상이 반나절 만에 철회되면서 결국 해프닝으로 끝났다.

LPG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들과 하부유통 단계 입장에선 반가운 일이지만 수입·판매업계는 또 다시 가격인상이 좌절되면서 손실분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액화석유가스(LPG) 수입·판매업체인 ㈜E1은 지난달 30일 프로판 및 부탄가스 충전소 공급가격을 ㎏당 69원 올리기로 결정했다가 5시간만에 돌연 인상방침을 철회했다.

E1 측은 “내부 재논의 끝에 동결을 결정했다”고 밝혔지만 업계에선 물가안정 차원에서 가격 동결을 요구하고 있는 정부의 압박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며 가격 논쟁을 벌였던 정유4사들은 지난달 초 정부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3개월 한시적으로 가격(100원) 인하 결정을 내린 바 있다.

또 석유제품 뿐만 아니라 유제품을 생산하는 서울우유 역시 지난 2월 공급 차질에 따른 가격 인상을 방침을 밝혔다가 당일 철회한 바 있다.

그 동안 LPG가격은 지난 1월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가격이 인상된 뒤 2월부터 4월까지 가격 동결 상태를 유지해왔다.

LPG는 원유에서 정제되는 특성상 국제유가 상승랠리에 따른 가격상승 압박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LPG 가격 동결이 수개월째 이어지면서 업체들은 국제유가 상승분을 공급가격에 반영하지 못해 월 100억 원이 넘는 미반영 부담이 누적되고 있다.

E1 측이 가격인상 방침을 밝혔던 것도 이러한 미반영분 누적부담이 쌓이면서 500억 원 가량의 손실이 발생한 데 따른 조치였다.

그러나 가격 인상 조치가 수포로 돌아가면서 5월 공급가 역시 국제유가 상승분이 미반영돼 손실이 더욱 커지게 됐다.

SK가스 등 타 업체들 역시 E1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가격을 동결한 만큼 어쩔 수 없이 공급가격을 올리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가격 동결이 업체 자율이 아닌 물가인상을 둘러싼 정부의 영향에 따라 이뤄지면서 향후 국제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더라도 공급가격을 탄력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LPG업계 한 관계자는 “고물가와 고유가로 인한 서민경제 부담은 십분 이해하고 있다”면서도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한 손실이 커지고 있지만 업계는 정부 압박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란에 빠져 속앓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