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 입지평가위원회(과학벨트위)가 지난 28일 과학벨트 거점지구를 10곳으로 압축한 가운데 전국 지자체와 정치권은 포함지역 파악에 나서는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 세종시 배제설이 나돌면서 충청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지역 정치권이 강력 반발하는 등 충청권은 초긴장 상태에 빠져들었다.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는 현재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며 세종시 배제설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 배제설이 사실로 확인되고 정부가 납득할 만한 해명을 내놓지 않을 경우, 제2의 세종시 수정안 사태에 버금가는 반발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정부도 과학벨트 최적지로 세종시를 공식 인정했으며, 과학계 역시 객관적인 판단으로 세종시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치권에선 ‘형님벨트’ 밀어주기 의혹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어 세종시가 과학벨트 거점지역에서 제외되면 정치적 후폭풍도 만만찮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배경으로 전국 지자체와 정치권, 과학계 등의 관심은 오는 11일로 예정된 과학벨트위의 3차 회의(2차 압축 작업)에 쏠리고 있다.

5곳으로 좁혀진 결과를 보면 세종시 포함 여부를 포함해 정부의 의도도 파악될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세종시 배제설에 충청권 반발

세종시 배제설이 전해진 지난 29일 충청정가는 청와대를 향해 일제히 포문을 열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이날 청와대를 항의 방문, 과학벨트위의 결정을 ‘밀실야합’으로 규정했다.

선진당 김창수 사무총장(대전 대덕구)은 이날 결의사를 통해 “이번 4·27 재보궐선거가 진행되고 있는 어수선한 틈을 타서 세종시를 과학벨트 대상지에서 제외시켰다”며 “세종시는 이명박 정부가 스스로 지난해 1월 11일에 교과부의 발표를 통해 전국에서 과학벨트의 입지로써 가장 적합하다고 선정, 발표했다”고 정부의 이중적 태도를 비판했다.

이어 “밀실야합에 의해 일단 세종시를 삭제하고, 10곳 가운데 무려 경상도, 영남지역에 5곳을 넣었다”며 “이명박 정권은 정말로 이랬다, 저랬다 하는 거짓말, 양치기, 청개구리 정권을 우리는 충청인의 이름으로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선택 원내대표도 “밀실회의에서 10개를 선정했는데 세종시가 없었다. 사실이 아니기를 바란다”며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충청인들에 대한 정치적 보복을 하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 역시 “국민을 농락하는 원칙없는 국정운영”이라고 현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다.

심 대표는 “과학벨트 입지 선정에 대한 저의가 없다면 왜 신청절차를 당당하고 투명하게 밝히지 못하고 음모적으로 진행하고 있는가”라며 “이명박 정부의 독단적이고 음모적인 국정운영이 위험수위에 도달해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대전시당도 이날 논평을 내고 “세종시가 과학벨트 후보지에서 빠졌다는 소문이 사실이라면 정부는 과학벨트를 분산배치하거나 형님벨트로 만들려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세종시를 대전과 같은 권역으로 간주해 뺐다고 하는데, 이는 세종시와 대전을 하나로 묶어 벨트의 일부분으로 축소하겠다는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대전·충남북 400여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과학벨트 대선공약 이행 범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도 성명을 내고 “정부가 과학벨트 후보지에서 세종시를 제외했다면 이는 이미 후보지 적합도에서 최적지란 기존의 결과를 부정하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파렴치한 행위이자 대선공약을 파기하고 선거법을 위반한 범법행위로 묵과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