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세종시 제외설로 충청권의 공조체제가 흔들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4면
특히, 공조체제가 경쟁체제로 돌변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충북 실리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과학벨트위원회 입지평가위원회가 지난달 28일 2차 회의에서 거점지구 입지 1차 후보지를 53곳에서 10곳으로 압축한 가운데 충청권 지자체가 ‘우선 대상지’로 공동 신청한 세종시는 제외됐다.
과학벨트위원회가 압축한 거점지구 후보지는 부산, 대구, 울산, 포항, 구미, 창원 등 영남권 6곳, 대전, 천안, 청원(오송·오창) 등 충청권 3곳, 광주 등 10곳으로 알려졌다. 세종시는 대전과 같은 권역으로 간주돼 제외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충청권 3개 시·도는 세종시를 과학벨트 거점지구 ‘우선 대상지’로 공동 신청하는 등 공조 원칙을 고수했지만, 과학벨트위 입지평가위원회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혼란에 빠졌다.
이런 와중에 천안시가 독자적인 과학벨트 유치 공식 선언과 함께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충청권 공조체제를 흔들고 있다.
천안시는 과학벨트위 입지평가위원회가 거점지구 후보지를 10곳으로 압축한 것으로 알려진 당일 유치 제안서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했다.
앞서 천안시는 지난 21일 충남도를 통해 과학벨트 후보지로 직산남산지구로 제안했었다. 천안시가 독자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충청권 3개 시·도는 과학벨트 공조 원칙을 공고히 하는 차원에서 세종시를 거점도시 후보지 ‘우선 대상지’로 공동신청한 것이다.
하지만 천안시가 유치 제안서를 최종적으로 제출하면서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를 위한 공조체제 붕괴 가능성과 경쟁 관계로의 전환 가능성에 대한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세종시 제외설과 천안시의 독자적인 유치 제안서 제출이 현실화되면서 충북 들러리 경계론과 실리론이 재부상하고 있다. 세종시가 제외되고 청원 오송·오창과 대전, 천안이 과학벨트 거점지구 후보지로 압축된 10곳에 포함된 상태라면 충청권 공조 관계보다 경쟁 관계로 볼 수밖에 없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도 관계자는 “과학벨트위원회에서 공식적인 거점지구 후보지에 대한 발표가 없기 때문에 입장을 표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하지만 충청권 지자체 모두 1차 대상지에 포함된 것이 사실이라면 공조 관계가 경쟁 관계로 바뀔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한나라당충북도당도 “충북이 과학벨트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어떤 혜택을 받을 것인지, 어떤 실리를 얻을 것인지 준비해야 한다”며 실리론을 제기하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가 과학벹트 거점지구 후보지 1차 대상지에서 빠진 것이 사실이라면 충청권의 공조 원칙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며 “천안시가 독자적인 유치 제안서까지 제출해 공조체제가 흔들리게 됐고, 충북은 자칫 경쟁 관계로 전환될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하는 입장이 됐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