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후보지가 전국 10개 지역으로 추려진 가운데 지난해 초 과학벨트 최적합지로 발표됐던 세종시가 제외된 것으로 알려지자 지역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민주당 충북도당은 성명을 내 “충청권 공조의 핵심인 세종시를 제외하고 대전과 천안, 청원을 골고루 끼워 넣은 것은 대전과 충남·북의 지역이기주의를 자극해 세종시를 거점지구로 과학벨트 사수 투쟁을 벌이고 있는 충청권 공조를 무력화시키려는 음모”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특히 영남권이 대거 포함된 것은 충청과 호남을 들러리로 세워 영남에 과학벨트를 몰아주려는 불순한 의도를 노골화한 것 아니냐”면서 “밀실에서 이미 짜여 진 각본에 따라 결정된 결과는 신뢰할 수 없으므로 정부는 당장 53개 평가대상지역에 대한 평가점수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한나라당 충북도당은 “과학벨트위원회의 공식입장이 발표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엔 시기상조”라면서 “지금은 충청권이 긴밀히 공조하되 충북이 들러리만 설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사실과 내용들을 찾고 얻어내는데 심혈을 기울일 때”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공식발표가 되지도 않았음에도 정치적 해석을 통해 음모론을 펼치는 민주당의 행태는 과학벨트를 또다시 정치쟁점화해서 여론을 호도하겠다는 것”이라면서 “한나라당은 과학벨트위원회가 객관적 최적지인 충청권을 과학벨트 입지로 조속히 결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