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일처’ 사회구조인 인간과 ‘다부일처’의 침팬지 성문화 비교를 통해 성(性)이 진화에 특별한 영향을 끼쳤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이하 생명연)은 박홍석 박사팀이 일본 국립바이오의학연구소 및 동경대 등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인간과 침팬지의 서로 다른 성 문화가 진화에 영향을 줬다는 분자생물학적 근거를 내놨다고 28일 밝혔다.

또 이번 연구를 통해 최초로 규명한 정소 관련 유전자 정보는 향후 선천성 남성불임의 원인 규명 등 정자의 기능과 관련된 남성 비뇨기질환 연구의 원천정보로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일부일처인 인간은 후손을 만드는 난자의 소유 경쟁이 불필요한 반면 침팬지 사회는 한 마리의 암컷에 대하여 여러 수컷들이 다발적으로 교미를 하는 성문화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난자의 소유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는 것에 주목했다.

이러한 사회구조의 차이로 침팬지가 인간보다 암컷의 난자 소유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우수한 정자를 만들기 위한 생리적 욕구가 훨씬 강하게 작용했다는 것.

연구팀은 진화의 과정에서 인간과 침팬지의 성문화의 차이는 유전자 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궁극적으로 인간과 침팬지의 생태적, 기능적 차이를 만드는데 공헌했을 것으로 해석헀다.

이에 연구팀은 인간과 침팬지를 확연하게 구별 짓는 중요한 특징이 생리적 활동이라는 사실에 주목, 침팬지 수컷의 정소에서 1933종류의 유전자 정보를 발굴했다.

이를 통해 인간과 침팬지의 정자 생성력, 운동력, 지구력, 수정력 등 정소기능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포괄적으로 비교 연구한 연구팀은 인간과 침팬지의 정자 생성 및 정자 기능에 관련된 50%의 유전자에서 구조 및 유전자 정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

특히 정자의 숫자, 정자의 운동속도 및 지구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깊은 3개 유전자(CD59, ODF2, UBC)에서 침팬지만의 특이적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인간과 침팬지의 정소에서 유전자 변이가 큰 원인은 인간과 침팬지들이 갖고 있는 뚜렷한 생리적 차이, 즉 전혀 다른 성문화의 방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