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궐 선거 결과가 한나라당의 참패로 나타나면서 정국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수도권인 경기도 분당 을에서 패배한 것은 물론이고 강원도지사 선거에서도 패배해 ‘재보궐은 여당의 무덤’이란 정치 격언을 재현했다.
한나라당은 선거 참패로 당내에서 ‘책임론’이 강하게 제기될 전망인데 특히 경기도 분당 을 선거구 패배를 놓고 책임 공방이 거셀 전망이다.
경기 분당 선거구에선 당초 ‘정운찬 공천 카드’를 놓고 지도부 간 대립각이 세워졌던 만큼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 공방에서도 지도부 간 갈등이 고조될 전망이다.
아울러 한나라당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텃밭이랄 수 있는 분당에서 패함으로써 당내 위기감이 급속도로 높아질 전망으로 소장파들의 당 개혁 목소리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안상수 체제에 대한 비판이 높아질 경우 ‘전당대회’를 통한 지도부 개편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나라당 일각에선 이번 패배를 계기로 대대적 물갈이를 해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어 내년 공천을 앞두고 ‘대규모 물갈이’ 공천 등 당내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친이계와 친박계 간의 선거 책임 공방 가능성도 일고 있어 ‘해묵은’ 계파 간 갈등이 본격화 될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반면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선거 연대’를 통한 단일후보 효과를 극대화 하면서 차기 총선, 대선에서의 입지를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고무된 분위기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연고가 전혀 없었던 경기 분당 을에서 당선됨으로써 차기 대권 후보 입지를 굳히게 됐다.
손 대표는 근 20년 간 한나라당이 장악해 온 분당에서 당선됨으로써 내년 총선을 앞두고 야권의 약진 가능성을 확인했다.
동시에 손 대표는 차기 대권후보로서의 자리매김에 성공했다.
경남 김해에서도 야권 단일 후보가 선전하면서 야권의 ‘영남 뚫기’가 어느정도 가능성을 보인 것으로 평가됐다.
야권은 이번 재보궐 선거에서 야권 단일후보를 성사시켜 선전함으로써 내년 총선에서도 단일후보로 여권에 대응하는 전략이 유효하게 됐다. 다만 후보 단일화의 '약발'이 먹히면서 야권간 주도권 다툼이 커질 것으로 예상돼 총선에서 단일화가 순조롭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