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수년전부터 특정개인이 여행사를 통하지 않고 산악회를 조직, 회원을 모집해 관광을 떠나는 여행업이 성행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주말 산행에 나선 한 산악회원들이 모집자가 마련한 음식을 먹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정재훈기자 jprime@cctoday.co.kr | ||
대전지역에서 수년째 ‘산악회’를 가장해 관광객을 모집하는 무등록 불법 여행업이 활개를 치고 있어 당국의 단속이 요구된다.
특히 지난 24일 경북 성주에서 대전지역 모 산악회원들을 태운 관광버스가 추락, 6명이 숨지는 대형참사를 계기로 지역 산악회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대전시관광협회·지역여행업체 등에 따르면 수년 전부터 특정개인이 여행사를 통하지 않고 산악회를 조직, 회원을 모집해 관광을 떠나는 불법 여행업이 성행하고 있다.
이들 ‘유령 산악회’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2만 원 정도의 저렴한 비용을 갖고 국내 유명산을 관광할 수 있다는 식의 입소문 등을 통해 등산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부 산악회들은 인터넷 사이트를 개설해 닥치는대로 회원을 모집, 많게는 매달 20여 차례의 관광을 떠나고 있다는 것이 지역 여행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역 모 여행업체 대표는 “유령 산악회들은 최소 40명 정도의 인원을 모집한 뒤 회원들에게 회비를 걷어 그 중 일부분을 챙기는 식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인터넷 상의 지역 산악회가 200여개 정도인데, 상당수가 불법 여행업을 일삼고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옛 홍명상가 및 신도극장 일대에 수시로 주차돼 있는 관광버스 대부분은 별도 계약없이 불특정 관광객을 선착순으로 모집하고 있어 제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런 산악회들은 대부분 여행자 보험 등을 가입하지 않아 이용객들이 여행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보상혜택을 제대로 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더욱이 합법적으로 여행사를 운영하고 있는 관광업 종사자들의 영업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지역 여행업계 관계자는 “적극적인 대처가 어렵다면 여행업계들이 하나가 돼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할수 있도록 지원이라도 해줘야 한다”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관할 당국의 관심이 커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대전시와 시관광협회는 불법 여행 알선업이 개별적으로 행해지다보니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하소연한다.
시관광협회 관계자는 “불법 여행업을 일삼는 산악회를 파악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어려운 점이 많다”며 “불법 여행알선 행위를 일삼는 산악회 등이 파악되는대로 고발 등 법적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