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가로림만 조력발전소에 대한 주민공청회가 충남 태안군 문예회관에서 열렸다.
지역주민과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한 이날 주민공청회는 반대 주민과 찬성 주민이 몸싸움을 벌이고 고성을 주고받는 등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
심지어 격렬한 몸싸움 끝에 반대위원장이 병원에 실려 가는 등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 같은 마찰은 발전소 건설을 놓고 지자체별로 입장이 엇갈리는 데 기인한다.
어민들도 어촌계별로 찬반으로 나뉘어 일부는 사업에 찬성해 ‘서산·태안보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고, 일부는 ‘반대투쟁위원회’를 조직해 환경단체와 함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발전소 건설에 대해 태안군을 비롯한 찬성 측은 지역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충분한 주민보상이 이뤄지면 추진해도 좋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서산시를 포함 한 반대 측은 개발 이익이 크지 않다며, 갯벌 감소 등 해양생태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지역 경제
한국서부발전은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로 서산과 태안의 지역 발전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우선 조력발전소 건설로 서산과 태안을 연결하는 연륙교 건설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교량건설비용 1200억 원을 절약하고 태안으로 가는 교통 소요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 발전소 건설과 함께 주변 지역을 해양종합관광단지로 개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태안지역에는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해양레포츠 시설 등을 건립하고, 서산지역에는 비즈니스지원 숙박단지를 조성하는 등 현재 서산에 건설 중인 석유화학 산업단지와 연계하면 에너지의 메카로 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태안 지역 주민들은 발전소 건설에 따른 충분한 피해보상이 이뤄지면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태안군 관계자는 “태안은 지금까지 관광 휴양지로서 무공해 산업을 위주로 발전시키려고 했지만, 안면도 개발사업은 20년째 제자리 걸음이고 지역에는 일자리가 없어 인구가 점점 감소하고 있다”며 “조력발전소 건설로 민간투자가 활발해지는 등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실제 태안의 인구는 지난 3월 말 기준 6만 3078명으로, 지난 2000년 6만 8784명에서 매월 30~45명 씩 줄어들고 있다.
◆환경 보전
반면 서산시와 환경단체는 조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갯벌 훼손과 생태계 파괴 등을 우려하며 지역 환경을 훼손하는 것은 신재생에너지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가로림만은 2005년 국내 갯벌 중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하다는 판정을 받았고, 2007년에는 환경가치순위 전국 1위로 평가된 갯벌이다.
서산 어가(漁家) 인구의 91%, 태안 어가 인구 9%가 천혜의 갯벌인 가로림만을 삶의 터전으로 삶고 있다.
환경단체는 가로림만이 훼손되면 영세한 어민들의 생계가 막막해질 뿐 아니라, 어패류 산란에 문제가 생겨 어족 자원이 감소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평주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의장은 “우리는 이미 천수만 AB지구를 통해 바다를 인공적으로 막으면 심각한 환경재앙이 뒤따른다는 것을 몸으로 체험해 알고 있다”며 “같은 실수를 또다시 하지 않도록 정부가 갯벌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산시 관계자는 “조력발전소 건설이 화력발전소를 더 짓기 위함이고, 탄소배출권 판매를 위한 것”이라며 “교량 효과와 관광단지 조성은 사탕발림에 불과하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