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아이러니하다. 과거 막대한 사업비 때문에 포기됐던 조력발전소 건설이 ‘환경 보전’이라는 명분으로 다시 추진되고 있지만, 동시에 ‘환경 훼손’이라는 이유로 논란의 핵심이 됐다. 그 속에 지역 개발이라는 이해관계까지 얽혀, 가로림만 조력발전소를 둘러싼 지역 간 찬반양론도 팽배한 상황이다.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이 딜레마에 빠진 셈이다.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그 어느 쪽을 선택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게 돼 곤란한 상황이다. 환경 보전과 훼손, 지역 개발과 환경 보전 사이에서 명확한 정답이 없지만 선택의 시간은 다가오고 있다. 충청투데이는 3차례에 걸쳐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갈등 및 대립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본다.
 

<글싣는 순서>

1 환경에 부딪히다

② 지역주민의 찬반양론

③ 대안은 없는가?


◆온실가스 감축과 조력발전소

현재 우리나라에는 3곳에서 조력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충남 서산 가로림만을 비롯해 강화도와 인천만에서도 사업절차를 밟고 있다.

최근 다시 조력발전소 건설이 탄력을 받기 시작한 것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후변화협약과 에너지 수급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방침에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는 오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예상량(8.1억t)의 30% 감축을 목표로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등이 포함된 등 저탄소 녹생성장 기본법 시행에 이어 내년부터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할당제가 시행된다.

이에 따라 500MW 이상 발전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 2%를 맞춰야 하고, 가장 경제성 있는 조력발전소 건설이 절실해졌다. 생산 원가를 따져 보면 1kwh 당 조력 90.5원, 풍력 107원, 연료전지 283원, 태양광 428~646원 등이다.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가로림만은 세계 최적의 조력발전소 건설입지로 평가받는다.

조수간만의 차(8.14m)가 크고, 조지면적(96㎢)이 넓으며, 방조제 길이(2㎞)가 짧다

이러한 점 때문에 지난 1970년대부터 조석 간만의 차, 즉 밀물과 썰물의 수위 차를 이용해 해수를 인공적으로 조성한 저수지에 출입시키면서 발전하는 조력발전에 대한 검토가 시작됐다.

서부발전에 따른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은 1조 22억 원을 투입해 서산시 대산읍 오지리와 태안군 이원면 내리에 걸친 가로림만에 2㎞ 해수유통 방조제를 쌓으면 물을 가둔 면적이 96㎢에 이르고 연간 950GW/h의 전기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서산과 태안의 연간 소비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전체 국내 풍력 및 태양광의 3.3배 수준에 해당된다. 총사업비 1조 22억 원이 투입돼 2015년 말에 완공되면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목표 설비용량의 30%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 훼손 불가피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따르면 발전소 건설로 인한 가로림만의 해수교환율은 8% 감소, 갯벌의 면적은 대조기에 11.3%, 소조기에 19.2%, 평균 13.9%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해 바지락, 굴 등의 양식어장과 마을 어장이 사라지고, 낙지, 갯지렁이 등 갯벌생물이 사라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가로림만은 서해안의 핵심 산란·양육·서식지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는데 가로림만마저 훼손될 경우 서해 중부 연안의 산란 서식지는 전멸하게 되는 셈이다.

수질오염에 대해서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는 빠른 해류로 인해 60개의 하천에서 유입되는 생활폐수, 토사, 육상 부유 쓰레기 등이 먼 바다로 빠져 나가지만 댐을 건설하게 되면 만 내부에 희석되거나 퇴적될 수 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