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주요 현안에 대한 지역 국회의원들의 입장이 엇갈리면서 현안에 대한 정치적 사전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충청권의 경우 국회의원의 소속정당이 달라 이견 노출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초당적인 정책적 조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회 국토해양위는 지난 20일 법안소위를 열고 행정도시인 세종시 건설에 대전·충북 업체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법안 개정안을 심의했지만 소위 위원들 간 합의가 안돼 전체회의 회부가 늦춰졌다. 이 법안은 현행 충남도 소속 건설사들만 세종시에 참여할 수 있는 행정도시 특별법을 개정하자는 취지로 2월 국회에서도 논의가 있었지만 지역 의원들 간 이견으로 법안 처리가 안되고 있다. 실제로 무소속 이인제 의원(금산·계룡·논산)은 지난 국토해양위 전체회의에서 “충남도에 법안취지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느냐”고 한만희 건설청장에게 질의했고 이 같은 상황에서 상임위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표결에서 기권, 법안처리가 이뤄지지 못했다.
충북 출신으로 국토해양위원장인 송광호 의원(제천·단양)은 전체회의에서 개정안이 처리되지 못하자 새로 입법안을 제출했는데 이 같은 상황이 오히려 법안 심사를 늦출 것이란 우려도 낳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대전 출신 박병석 의원(대전 서구 갑)은 이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이 의원의 입장 정리가 주목된다.
충청권 최대 현안인 과학벨트 입지 유치를 놓고도 지역의원 간 입장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한나라당 김호연 의원(천안 을)은 최근 천안시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천안시 유치 건의서를 교육과학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시가 주체가 됐긴 하지만 김 의원이 강력하게 이를 주문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천안시가 유치 건의서를 제출하면서 타 시·도에서도 유치를 위한 입장 표명 움직임이 본격화 될 지 우려된다. 세종시 입지를 끊임없이 주장하고 있는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연기·공주)는 심사 기준 등에서 세종시가 적지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국회 교과위원장인 변재일 의원(충북 청원)측은 천안 입지 추진에 대해 불쾌한 입장을 나타내면서 ‘오히려 청원이 적지’라는 입장이다.
충청권 현안에 대한 지역의원 간 입장 차이가 미묘하게 드러나면서 초당적 협력에 대한 목소리로 높아질 전망이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국회 국토해양위는 지난 20일 법안소위를 열고 행정도시인 세종시 건설에 대전·충북 업체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법안 개정안을 심의했지만 소위 위원들 간 합의가 안돼 전체회의 회부가 늦춰졌다. 이 법안은 현행 충남도 소속 건설사들만 세종시에 참여할 수 있는 행정도시 특별법을 개정하자는 취지로 2월 국회에서도 논의가 있었지만 지역 의원들 간 이견으로 법안 처리가 안되고 있다. 실제로 무소속 이인제 의원(금산·계룡·논산)은 지난 국토해양위 전체회의에서 “충남도에 법안취지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느냐”고 한만희 건설청장에게 질의했고 이 같은 상황에서 상임위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표결에서 기권, 법안처리가 이뤄지지 못했다.
충북 출신으로 국토해양위원장인 송광호 의원(제천·단양)은 전체회의에서 개정안이 처리되지 못하자 새로 입법안을 제출했는데 이 같은 상황이 오히려 법안 심사를 늦출 것이란 우려도 낳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대전 출신 박병석 의원(대전 서구 갑)은 이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이 의원의 입장 정리가 주목된다.
충청권 최대 현안인 과학벨트 입지 유치를 놓고도 지역의원 간 입장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한나라당 김호연 의원(천안 을)은 최근 천안시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천안시 유치 건의서를 교육과학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천안시가 주체가 됐긴 하지만 김 의원이 강력하게 이를 주문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천안시가 유치 건의서를 제출하면서 타 시·도에서도 유치를 위한 입장 표명 움직임이 본격화 될 지 우려된다. 세종시 입지를 끊임없이 주장하고 있는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연기·공주)는 심사 기준 등에서 세종시가 적지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국회 교과위원장인 변재일 의원(충북 청원)측은 천안 입지 추진에 대해 불쾌한 입장을 나타내면서 ‘오히려 청원이 적지’라는 입장이다.
충청권 현안에 대한 지역의원 간 입장 차이가 미묘하게 드러나면서 초당적 협력에 대한 목소리로 높아질 전망이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