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이 세종시의 과학벨트 거점지구라는 공조 원칙을 고수하는 가운데 천안시가 후보지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면서 지자체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천안시는 충청권 3개 시·도가 제출한 후보지와는 별도로 과학벨트 거점지구 후보지로 천안 직산남산지구(직산읍 남산리 일원)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천안시는 편리한 교통여건과 ㎡당 25만~35만 원 수준의 부지조성 가격 등을 감안하면 직산남산지구가 과학벨트 최적지라는 점을 내세우며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처럼 천안시가 충청권에서는 처음으로 후보지를 제출했다고 발표하는 등 과학벨트 유치에 적극성을 보이면서 지자체들이 진위를 파악하는 등 민감하게 반응했다. 충북도는 “천안시가 후보지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한 것 아니라 교과부의 부지현황조사를 위한 자료 요청에 따라 충남도에 자료를 제출한 것”이라며 정부 방침에 응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도 관계자는 “충청권 지자체는 세종시를 1순위에 놓고 나머지는 각 지자체에서 조건에 맞는 지역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게 될 것”이라며 “천안시의 후보지 제출은 이런 차원에서 이해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리는 충청권 공조 원칙에 따라 세종시를 1순위로 하고 시·군에서 제출된 지역을 가능하면 모두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과학벨트 세종시 거점지구라는 충청권 공조 원칙 속에서도 천안시가 그동안 독자적인 행보를 보인 것과 최근의 천안 거점지구설에 신경이 곤두서 있다.

천안시는 그동안 충청권의 세종시 거점지구 공조 원칙과는 달리 과학벨트 최적지라는 국토연구원 용역평가 등을 내세우며 유치에 공을 들여왔다. 또 최근에는 과학벨트의 천안 거점설까지 나돌고 있어 충청권 공조체제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충북도의 또 다른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세종시 거점지구, 오송·오창·대덕 기능지구라는 충청권 공조원칙은 변함이 없다”며 “공조 원칙에도 불구 일부 지역이 독자적인 행보를 하고 있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충북도는 도내 시·군에서 과학벨트 적합지역에 대한 자료를 받아 검토 후 22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현재 오송제2산업단지, 청주테크노폴리스, 중부신도시(혁신도시), 태생국가산업단지 등 3~4곳을 제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13일 전국 지자체에 과학벨트 거점지구가 입지할만한 부지를 22일까지 제출해줄 것을 요청함에 따라 도는 시·군을 대상으로 대상지역을 파악해왔다.

앞서 과학벨트위원회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설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평가 대상지역을 비수도권 가운데 50만 평 이상 개발 가능한 부지를 확보한 전국 시·군으로 정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