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치러지는 4·27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여야 간 예측불허의 접전이 벌어지고 있어 선거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이번 재보궐 선거는 내년 총선을 1년여 앞두고 벌어지는데다 2012년 대선으로 가는 길목에서 치러져 민심의 단초를 엿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여야 지도부는 수도권과 강원, 영남 등에 집중적으로 총력 지원 태세를 펴고 있다. 충청권은 태안군수 선거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 민주당 등에 따르면 주요 선거지역인 강원도지사, 경기 성남 분당 을, 경남 김해 을 등에서 여야 후보가 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강원도지사의 경우 한나라당 엄기영, 민주당 최문순 후보가 접전을 벌이고 있다.
경기 성남 분당 을에선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우위가 뒤바뀌는 ‘들쭉날쭉’ 조사가 여전한 가운에 한나라당 강재섭 후보와 민주당 손학규 후보 간 격돌이 이어지고 있다.
경남 김해에선 한나라당 김태호 후보와 국민참여당 이봉수 후보가 겨루고 있는데 여론조사에서도 접전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 등 야권의 경우 이번 선거에서 후보단일화에 성공한 지역에서의 성적표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데 특히 김해 선거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보궐 선거 주요 지역에서 피말리는 접전이 계속되면서 승패 결과에 따른 정치지형 변화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각 정당은 5월 중 원내대표 선출 등 당직선거가 예정돼 있어 선거 결과에 따라 당 지도부 교체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
한나라당은 선거에서 일정한 승리를 거둘 경우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을 방지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은 선거에서 성과를 거둘 경우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의 집권 가능성을 높일 수 있지만 패배할 경우 수권정당으로의 이미지 변신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짐을 안게 된다. 선진당의 경우 충청권에서의 의미 있는 승리가 이뤄질 경우와 반대 경우에 따라 상황은 전혀 다르게 된다.
정치권 관계자는 “4월 재보궐 선거가 타이밍상 총선과 대선에 앞서면서 상당한 의미가 부여될 수도 있다”면서 “선거 결과에 따라 정치권 정치지형 변화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이번 재보궐 선거는 내년 총선을 1년여 앞두고 벌어지는데다 2012년 대선으로 가는 길목에서 치러져 민심의 단초를 엿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여야 지도부는 수도권과 강원, 영남 등에 집중적으로 총력 지원 태세를 펴고 있다. 충청권은 태안군수 선거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 민주당 등에 따르면 주요 선거지역인 강원도지사, 경기 성남 분당 을, 경남 김해 을 등에서 여야 후보가 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강원도지사의 경우 한나라당 엄기영, 민주당 최문순 후보가 접전을 벌이고 있다.
경기 성남 분당 을에선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우위가 뒤바뀌는 ‘들쭉날쭉’ 조사가 여전한 가운에 한나라당 강재섭 후보와 민주당 손학규 후보 간 격돌이 이어지고 있다.
경남 김해에선 한나라당 김태호 후보와 국민참여당 이봉수 후보가 겨루고 있는데 여론조사에서도 접전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 등 야권의 경우 이번 선거에서 후보단일화에 성공한 지역에서의 성적표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데 특히 김해 선거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보궐 선거 주요 지역에서 피말리는 접전이 계속되면서 승패 결과에 따른 정치지형 변화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각 정당은 5월 중 원내대표 선출 등 당직선거가 예정돼 있어 선거 결과에 따라 당 지도부 교체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
한나라당은 선거에서 일정한 승리를 거둘 경우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을 방지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은 선거에서 성과를 거둘 경우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의 집권 가능성을 높일 수 있지만 패배할 경우 수권정당으로의 이미지 변신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짐을 안게 된다. 선진당의 경우 충청권에서의 의미 있는 승리가 이뤄질 경우와 반대 경우에 따라 상황은 전혀 다르게 된다.
정치권 관계자는 “4월 재보궐 선거가 타이밍상 총선과 대선에 앞서면서 상당한 의미가 부여될 수도 있다”면서 “선거 결과에 따라 정치권 정치지형 변화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