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 원전 방사능 유출 사고로 학교급식 식자재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대전·충남 교육당국의 ‘학교급식 안전관리 메뉴얼’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학교 측에 관련 메뉴얼만 형식적으로 전달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21일 교육과학기술부와 대전시·충남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교과부는 최근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자를 대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급식의 질 저하 방지 등을 골자로 하는 ‘학교급식 안전관리 대책’을 각 학교에 시달할 것을 권고했다.
안전관리 대책을 보면 △식재료 원산지 표시 식단표 가정 통보 △홈페이지 공개 △주간 식단표 교실 및 식당 내 배식구 게재 △원산지 품질등급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위생상태 확인 및 검수 △수질검사 등이다.
그러나 시교육청은 안전관리 추진배경 등 수십 페이지 분량의 교과부 회의자료를 그대로 관할 학교에 시달, 학교 관계자 및 영양사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일부 영양사들은 관련 내용을 숙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자료 자체를 전달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A초등학교 영양사는 “일본산 원산지 등과 관련된 회의자료는 받은 적이 없다”며 “급식소 내 화상 등 안전사고와 관련된 공문을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B초등학교 영양사는 “회의자료를 받았지만 일본산 식재료 등 급식 질 저하 등 대책과 관련한 자료라는 것은 몰랐다”고 말했다.
도교육청 역시 기존 급식안전관리 메뉴얼의 연장선이라는 이유로 각 학교에 시달을 미루고 있는 상태다.
이에 교육계 일각에서는 교과부가 갖가지 학생급식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반면 시·도교육청은 소홀히 대처하고 있어 결국 학생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에 시달된 자료는 기존 각 학교에 시달된 내용과 특별히 다른 내용이 없다”며 “교과부 회의 자료 분량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아직 정리를 마치지 못했다. 마무리되는 데로 각 학교에 시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정확한 메뉴얼을 각 학교에 전달하기 위해 회의자료를 그대로 시달했다”며 “현재 안전하게 학교급식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