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장님. 이제 지역경제 좀 살리고, 구민들도 챙겨주세요.”

정용기 대전 대덕구청장이 21일 무상급식과 관련 ‘소득 수준별 시행’이라는 그동안의 주장을 접고, "대전시의 방침에 따르겠다"고 밝히면서 무상급식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정작 대덕구민들의 반응은 차갑다.

우선 정 청장이 끝까지 자신의 소신을 옳다고 선전하면서도 학년별 단계적 무상급식 시행에 동조했고, 그 결과 900여만 원의 여론조사 비용은 혈세낭비로 이어진데다, 구민들의 최대 관심사항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진단이나 처방은 요원했기 때문이다.

정용기 대덕구청장은 이날 오후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학교 무상급식과 관련한 개인 소신은 지금도 변함이 없지만 그동안 각종 간담회와 토론회, 여론조사 등을 통해 구민 의견을 수렴, 시의 무상급식 방안에 따르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대전시는 형편이 어려운 집 아이들부터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구민들이 훨씬 많았다는 사실을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해마다 늘어나는 학교 급식 부담금을 어떻게 해결할 지에 대해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덕구는 이에 따라 내달 올해 제1회 추경 때 관련 예산 1억 8000만 원을 편성, 구의회에 제출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부터 대전 전 지역에서 1~2학년을 시작으로 전면 무상급식이 시행될 전망이다.

구가 ‘시의 무상급식 방안을 따라야 한다’는 대다수 구민들의 여론을 의식, 사실상 수용을 했지만 이번 논란을 계기로 정 청장에 대한 비난여론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특히 신탄진 등 일부 지역에서는 21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신탄진 벚꽃축제에 대한 민간이양 방침을 거론하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지자체가 오히려 행사지원을 중단하고, 상인들과 마찰을 빚는 등 상식 밖의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정책추진 방향의 일대 쇄신을 요구하고 있다.

법동에 거주하는 시민 안 모(46) 씨는 “여론조사를 해서 소득수준에 따른 단계별 무상급식 시행을 원하는 구민들이 많았다면 그렇게 하고, 그 반대면 원칙대로 추진하면 되지 왜 900여만 원이 넘는 예산을 들였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만약 청장 개인돈이라면 이렇게 쓰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신탄진에서 만난 한 상인도 “전국에서 신탄진 벚꽃축제를 보러오는 관광객을 한 명이라도 더 유치하지는 못할망정 예산지원을 중단하고, 강력한 불법주정차 단속에 나선 결과, 행락객이 예년의 반도 오지 않았다”며 “무상급식 여론조사를 위해 쓸 돈은 있고, 지역 상인들을 위한 지원금은 그렇게 아까운 것인지 정용기 청장의 생각이 궁금하다”고 반문했다.

반면 신탄진 벚꽃축제의 민간이양 방침의 문제점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이날 정 청장은 “이 자리에서 벚꽃축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