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윤경식 한나라당 충북도당위원장(오른쪽) 등이 18일 충북도청 기자실에서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와 충북의 실리를 챙기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에 따른 충북실리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한나라당 충북도당 관계자들은 18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과학벨트와 관련해 “충북의 발전을 위해 고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과학벨트위원회가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함께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한 것은 본래의 취지에 맞게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객관적 최적지인 충청도에 과학벨트가 입지할 것이라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들은 “이제 우리는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를 넘어 충북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며, 어떤 혜택을 누릴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충북의 실리를 챙기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차제에 충북도는 충북의 요구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윤경식 도당위원장은 “충청권이 공조해야 하지만, 문제는 천안 등은 오래전부터 독자적인 과학벨트 거점지구 유치운동을 벌였다는 점”이라며 “충북만 들러리 서는 모양새가 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과학벨트 충청권 사수 공조체제에 따른 충북 들러리를 경계하며 실익론이 꾸준히 제기됐었다.
과학벨트와 관련한 충북 실익론은 지난 2월 1일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원점 검토 발표 이후 정우택 전 충북도지사를 비롯해 지역정치권과 충북도 내부에서도 들러리 우려와 함께 거론됐다.
충북도당 관계자는 “충청권이 과학벨트 사수에 공조하되, 충북의 혜택에 대해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며 “과학벨트위가 거점지구 후보지를 조사하는 만큼 충북도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